인천경제계와 인천시민단체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들에게 지역 경제현안을 제안했다. 이들 단체가 제안한 현안은 ‘기업 활력 회복과 성장기반 구축’, ‘미래 성장 동력 육성’, ‘글로벌 도시 경쟁력 강화’ 등 3대 과제가 주요 골자다.
인천상공회의소(인천상의), 인천경제단체협의회,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인천경실련)은 5월 13일 인천상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21대 대선 후보에 바라는 2025 인천경제주권 어젠다’를 발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박주봉 인천상의 회장, 김재식 인천경실련 공동대표를 비롯해 인천상의 회장단, 인천지역 경제계와 시민사회 관계자들이 함께 했다.
기자회견에서 박 회장은 “인천경제주권 어젠다는 대한민국 경제의 역동성 회복을 위해 경제 구조 전환과 지역 역량 재정비가 필요한 시기인 만큼 경제 도시 인천이 새롭게 도약하기 위한 과제를 담았다”며 “대선 후보자들께서는 인천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기업인, 경제계, 시민단체가 그리는 청사진인 이번 어젠다를 공약에 반영해 주시고 정책 실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힘써주시기를 다시 한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인천경제단체와 시민단체, 산업계의 의견을 모아 만든 3대 인천경제주권 어젠다는 인천 경제 발전을 위한 10개 대표 세부 과제와 새 정부에게 바라는 10대 핵심 숙원 사업으로 구성됐다.
저성장 국면을 맞이한 인천 경제, 해법으로 제안한 ‘기업 활력 회복과 성장 기반 구축’ 대표 과제로는 △규제 장벽 해소와 맞춤형 지원 강화 △산업 현장 인력난 해소 △산업단지 혁신 역량 강화 등이 제안됐다.
인천의 지속가능한 발전 위해 제안한 ‘미래 성장 동력 육성’ 대표 과제로 △바이오헬스 산업 △반도체 산업 △항공·미래 모빌리티 산업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에너지 산업 육성 등이 요청됐다.
동북아 핵심 거점도시 발전을 위해 제안한 ‘글로벌 도시 경쟁력 강화’ 대표 과제로 △수도권 규제 정책 전환 △산업 친화적 인프라 조성 △지방자지권한 강화가 선제돼야 한다고 제시됐다.
이와 함께 기자회견에서는 새 정부에게 바라는 인천경제계의 10대 핵심 숙원 사업도 건의됐다. 10대 핵심 숙원 사업은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2028년 조기 완공 △인공지능(AI), 스마트공장의 인천 산업단지 보급 확대를 통한 제조 혁신 △부평·주안 국가산업단지 첨단벤처 융복합 공간으로 대전환 △분산에너지특별법 지역별 차등요금제 전력자급률 반영 △인천해상풍력발전단지 조기 조성 △수도권정비계획법 폐지 △규제자유특구 인천 역차별 해소 △공유수면 매립권한 확대 △경제자유구역 확대 △해사전문법원 인천 유치 등이다.
인천상의와와 인천경실련은 이후 주요 정당 인천시당에 정책 제안집을 직접 전달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