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국제협약 가입이나 관세법 개정 등으로 항공기 부품 원가를 낮추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10일 페이스북을 통해 "국내 항공 MRO(보수·수리·정비)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고 부품·정비·공항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후보는 항공방위우주산업 정책 발표를 통해 △K-공항 모델 수출 전폭 지원 △미래 교통수단 K-UAM(도심항공교통) 산업 육성 △방위산업의 기술 자립 및 수출 확대 △경남 우주항공국가산업단지 육성 등도 약속했다.
그는 "항공·방위·우주산업을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만들겠다"며 "항공·방위·우주산업은 부가가치가 높고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첨단 미래산업의 대표적인 핵심 산업"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사천은 군용기와 부품 제조 중심으로 인천은 해외 복합 MRO 중심으로 특화해 두 도시를 세계적인 MRO 산업 거점으로 키우겠다"고 했다.
그는 이를 위해 K-공항 모델 수출 지원을 약속하며 "공항의 건설부터 운영, 서비스까지 통합 수출할 수 있도록 국가가 주관하고 전문기업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항공 정비 부품은 국산화하고 항공 분야 연구개발(R&D)을 지원해 기술 역량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또 "'김포공항 혁신 지구'를 UAM 허브로 적극 추진하겠다"며 "K-UAM 지자체 시범사업과 공공 셔틀·관광·공공 실증화 사업에 대한 국가 지원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첨단 국방 AI 기술 기반을 구축해 항공기, 미사일, 위성 등 전후방 산업을 육성하겠다"며 "방위산업 소재·부품 국산화를 촉진해 기술 자립도를 높이겠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KF-21 후속 차세대 전투기와 독자 기술 기반의 항공기 엔진을 개발해 자주국방을 실현하겠다"며 "방위산업 수출기업에는 R&D 세액 감면을 추진해 기업경쟁력을 확보하고, 방위산업 중소기업 지원도 강화해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경남 우주항공국가산업단지를 글로벌 우주항공 중심지로 키우겠다"며 "발사체, 위성체, 지상 장비 등 우주산업 전반의 R&D를 대폭 확대해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또 "우주청 청사는 조기에 완공하고 진주와 사천지구에 우수 인재와 기업이 모일 수 있도록 정주환경 조성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고흥의 발사체 산업도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