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월 은행권 대출 연체율이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내수 회복 지연과 대외 불확실성 속에 중소기업·자영업자 중심의 신용위험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 말 가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58%로 전월(0.53%)보다 0.05%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8년 11월(0.60%) 이후 최고치로, 전년 동기 대비로도 0.07%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2월 중 신규 연체는 2조 9000억 원으로 전월(3조 2000억 원) 대비 줄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가 1조 원에서 1조 8000억 원으로 늘어난 가운데 전체 연체율은 두 달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금감원은 “중소기업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68%로 전월 대비 0.07%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0%로 한 달 새 0.05%포인트 올랐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4%로 0.07%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중소법인은 0.90%로 전월보다 0.08%포인트 높아졌고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도 0.76%로 0.06%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과 유사했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9%로 제자리였다. 주담대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 기타 가계대출 연체율은 0.89%로 전월보다 0.05%포인트 올랐다.
금감원은 “중소법인과 개인사업자 중심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는 만큼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은행들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하도록 유도하고, 연체채권 상매각 등 자산건전성 관리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