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로보틱스(454910)가 올해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와 지능형 로봇 솔루션 개발 등 인공지능(AI) 기술 혁신을 본격 추진한다.
두산로보틱스는 김민표 대표를 비롯한 전 임직원이 11일 분당두산타워에서 타운홀 미팅을 진행했다고 14일 전했다. 김 대표는 “하드웨어 중심으로 편재됐던 사업을 지능형 로봇 솔루션으로 전환하고 휴머노이드 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도 병행하겠다”고 선언했다. 빠른 성과를 내기 위해 대대적인 조직 개편 역시 예고했다.
두산로보틱스는 우선 제조 분야의 자동화 관련 지능형 로봇 솔루션을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지능형 로봇 솔루션은 협동로봇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AI 기능을 통합한 형태로 설치 후 바로 운영할 수 있는 ‘플러그앤드플레이’ 제품이다. AI를 통해 작업 경로와 순서를 최적화하고 작업 시간을 최소화하며 다수의 협동로봇 간 협업으로 효율적 작업이 가능하다. 또 물류·용접 등 개별 작업의 정밀성을 높이는 특화인공지능(ANI)이 적용된다.
두산로보틱스는 실용적 휴머노이드 사업을 겨냥해 우수 인력도 서둘러 확보한다. 이달 21일부터 로봇 연구개발(R&D),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AI, 소프트웨어, 사용자경험(UX) 등 전 분야에 걸쳐 경력 사원 공채를 진행한다. 하반기에는 AI·소프트웨어와 휴머노이드 R&D 조직을 신설하고 최적의 로봇 R&D 환경을 보유한 통합 R&D센터도 구축할 예정이다.
두산로보틱스가 구상하는 실용적 휴머노이드는 사용자가 요구한 작업을 형태·기능 등의 최적화를 통해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이다. 회사 측은 실용적 휴머노이드를 위해 다수의 팔을 동시 제어하는 ‘멀티암 동시 제어 기술’, 다양한 환경에서 센서와 알고리즘을 이용해 안전한 작업을 돕는 ‘충돌 회피 기술’, 로봇이 스스로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여러 단계의 작업을 수행하는 ‘롱·호라이즌 태스크 기술’ 등을 선제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협동로봇을 넘어 성장 잠재력이 큰 지능형 로봇 시장의 ‘톱티어’가 되기 위해 기술 혁신으로 제품 초격차를 이끌어내야 한다”며 “조기 목표 달성을 위해 기술 개발 및 내재화, 전략적 파트너십, 인수합병(M&A) 기회 확보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고 실행 중심의 조직 문화를 정착시켜 혁신을 이어가자”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