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연령층 증가에 따른 퇴직연금 시장 확대로 연금 계좌 내 시장 지수형 상장지수펀드(ETF) 잔액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지수형 상품의 인기는 매년 추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코스닥 등 국내 증시를 추종하는 ETF의 장기 수익률이 주요국 지수형 상품에 비해 한참 부진한 영향이다.
9일 미래에셋증권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확정기여형(DC)·개인형(IRP) 퇴직연금 계좌 내 ETF 잔액 중 ‘KODEX 200’ ‘TIGER 200’ ‘KODEX 코스닥150’ ‘TIGER 코스닥150’ 등 국내 지수형 ETF 4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1.71%에 그쳤다. 2021년 1분기 말 4.38%였던 비중은 2023년 처음 1%대로 내려앉은 이후 좀체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잔액 자체는 4년 전(약 328억 원) 대비 5배 가까이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퇴직연금 계좌 내 ETF 전체 잔액 7487억 원에서 9조 원으로 10배 넘게 폭등한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퇴직연금 같은 장기 투자 상품으로 지수형 ETF를 선호한다. 단일 종목이나 반도체·자동차 등 일정 섹터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테마형 ETF 대비 분산 효과가 커 변동 위험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국내 지수형 ETF 인기가 시들한 건 처참한 장기 수익률 탓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지난 5년 동안 25.45%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78.61%와 87.25% 상승한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은 물론 일본 닛케이225(69.31%), 독일 닥스(91.96%) 등 주요국 지수 수익률을 한참 밑돌았다. 염승환 LS투자증권 이사는 “‘박스피’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서는 애플·TSMC같이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들이 많이 배출될 수 있도록 산업구조를 바꿔야 한다”며 “밸류업, 주주 환원 강화 등에도 힘쓰며 국내 증시 자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올 들어 이날까지 퇴직연금 계좌로 ‘TIGER 미국S&P500’ ‘KODEX 미국S&P500’ ‘TIGER 미국나스닥100’ ‘KODEX 미국나스닥100’ 등 미국 지수형 ETF 4종 2조 1748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일각에서는 퇴직연금 계좌 내 해외 ETF 투자 열풍이 원화 약세의 장기적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연금·개인형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 절세 계좌 내 해외 ETF 투자 열풍이 불며 기준금리 인상에도 엔화 가치가 좀체 반등하지 못하고 있는 일본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부와 금융 당국 역시 이 같은 문제의식에 공감하며 지난달 국내 투자형 ISA의 국내 주식 의무 투자 비율을 현행 최저 40% 수준에서 높이기로 결정했다. 정확한 수치는 현재 관련 부처와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