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이 2년 9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실거주 의무를 피할 수 있는 경매 시장으로 수요자들이 몰린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9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2888건으로 전월(3379건) 대비 약 15% 감소했다. 낙찰률은 39.9%로 2.7%포인트 하락했고, 낙찰가율은 85.1%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 역시 172건으로 약 32% 줄었다. 올해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잠실·삼성·대치·청담 등 서울 일부 지역 집값이 급등하자 채무를 상환하거나 경매를 유예하는 경우가 많아진 데 따른 결과다. 반면 낙찰가율은 전월보다 5.7%포인트 상승한 97.5%에 달했다. 이는 2022년 6월(110.0%) 이후 2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평균 응찰자 수도 10.6명으로 2021년 2월(11.7명) 이후 3년 만에 가장 많았다. 낙찰률은 41.9%로 전월보다 소폭 하락했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지난달 서울시가 토허구역을 확대 재지정하면서 규제를 받지 않는 경매시장으로 투자수요가 몰렸고, 고가낙찰 사례가 속출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따르면 ‘민사집행법에 의한 경매’는 토지거래계약 허가 대상에서 제외된다. 실제 지난달 31일 서울 송파구 잠실동 ‘우성아파트’ 전용 131㎡는 감정가(25억 4000만 원)보다 높은 31억 7640만 원에 낙찰됐다. 낙찰가율은 125%에 달한다.
경기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650건으로 전월(753건) 대비 약 14% 감소했다. 낙찰률은 43.1%로 전월보다 8.7%포인트 하락했고, 낙찰가율은 86.5%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이자 부담이 덜한 소형 저가 아파트에 많은 응찰자가 몰렸다. 인천 아파트 경매 낙찰률과 낙찰가율은 각각 33.9%, 80.5%로 전월과 유사했다.
지방 5대 광역시 중에서는 울산(83.7%) 아파트 낙찰가율이 전월에 비해 5.8%포인트 하락하며 전국에서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대전(76.8%)과 광주(78.1%)도 낙찰가율이 낮아졌다. 지방 8개 도에서는 전북(90.5%) 아파트 낙찰가율이 6.5%포인트p 전국에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전남(81.2%)도 낙찰가율이 4개월 만에 반등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