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쇼크가 7일 국내외 시장을 뒤흔들었다. 장중 매도 사이드카까지 발동된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5.57% 급락하며 장을 마감했다. 홍콩·대만 증시가 10%가량 폭락하는 등 아시아 증시는 일제히 ‘검은 월요일’을 맞았다.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70원대로 치솟기도 했다. 시장이 패닉에 빠진 것은 관세 전쟁 격화로 인한 글로벌 경제 침체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미국의 고율 관세에 중국이 34% 보복관세로 맞선 가운데 JP모건은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3%에서 -0.3%로 끌어내리고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을 40%에서 60%로 높여 잡았다.
‘R(경기 침체)의 공포’ 현실화 우려가 커지는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무역적자가 해결되지 않으면 중국과 협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무역적자를 치료할 유일한 약은 관세”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대로 글로벌 통상 전쟁이 장기화하면 금융 불안이 시스템 리스크로 번지고 실물경제 전반을 뒤흔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한국은 수출의 약 40%를 미국·중국에 의존하는 취약한 경제 구조를 갖고 있어서 미중 무역 전쟁과 미국의 경기 침체 변수로 자칫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시장에서는 이미 외국인 이탈이 가속화하고 있다. 내수 침체와 수출 둔화로 올해 우리 경제의 성장률이 ‘0%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미국마저 역성장할 경우 내년에도 우리 경제 성장률이 1.2%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암울한 분석도 나왔다.
지금은 글로벌 관세 쇼크의 격랑에 휩쓸리지 않도록 안전벨트를 단단히 좨야 할 때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를 중심으로 민관정과 노사가 힘을 모아 위기 대응을 위한 총력전을 펴야 한다. 24시간 비상 체제로 금융·외환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고 경제의 약한 고리인 취약 계층 지원에 나서는 것은 필수다. 여야 정치권은 산업과 민생 지원을 위한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 협력해야 할 것이다. 노조도 기업을 살리고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사측과 공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방파제를 쌓아야 금융·실물경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