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천 경제자유구역 매립준공 등의 영향으로 국토 면적이 여의도의 3.6배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2025년 지적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국토 면적은 10만 459.9㎢로 전년보다 10.5㎢ 증가했다. 이는 인천시 경제자유구역 공구 매립준공, 전남 남악 오룡지구 택지개발 사업 등의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면적이 가장 큰 곳은 경북(1만 8428㎢)으로 국토의 18.3%를 차지했다. 이어 강원 1만 6830㎢(16.8%), 전남 1만 2363㎢(12.3%) 순으로 면적이 넓었다. 서울은 605.2㎢로 전 국토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0.6%가량 됐다.
지난 10년간 토지 면적 변화를 따져보니 산림·농경지(임야·전·답·과수원)는 1630㎢(2%) 감소했다. 반면 생활기반 시설(대지·학교용지)은 507.5㎢(16%) 증가하며 대조를 이뤘다. 산업기반 시설(공장용지·창고용지)도 276.7㎢(28%) 늘었다. 교통기반 시설(도로·철도·주차장·주유소) 면적은 434.9㎢(13%), 휴양·여가 시설(공원·체육용지·유원지)도 254.1㎢(47%) 증가했다.
생활기반 시설 중 특히 아파트·다세대 등 집합건물 면적이 10년 전보다 206.4㎢(38.8%) 늘었다. 이는 도시 집중 현상에 따른 주거 방식의 변화에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토지이용현황을 지목별로 보면, 산림과 농경지(전·답·과수원)가 전체 국토 면적의 약 81.3%를 차지했다. 비율이 높은 지목은 임야(63.0%), 답(10.8%), 전(7.4%) 순이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전은 3.4%, 답은 5.4%, 임야는 1.2% 줄었다. 같은 기간 대지와 도로는 각각 16.8%, 13.1% 증가했다.
국토를 소유자별로 분석하면 개인이 49.6%를 보유했다. 또 국유지가 25.6%, 법인 소유가 7.6%였다. 지난 10년간 개인 소유 토지는 4.6% 감소한 반면 국유지(3.6%)와 법인 소유(13.2%)는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지적통계는 토지·임야대장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행정구역별, 지목별, 소유자별로 필지·면적을 집계해 매년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이다. 국토부는 토지 관련 정책수립, 학술 연구 등에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도서관, 학교 등 280여 기관에 배포하고, 전자파일 형태(PDF)의 전문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