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재산이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5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7일 공개한 2024년 말 기준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김 지사가 신고한 재산은 건물(전세임차권 포함) 23억6300만원, 예금 13억4894만원, 채무 2억1000만원 등이다. 이는 지난해 3월 재산공개 당시(2023년 말 기준) 신고액 33억3674만원보다 1억6832만원 늘어난 것이다.
이는 급여와 임대소득 등으로 인한 재산 증가라고 김 지사 측은 설명했다.
김성중 행정1부지사는 12억8940만원, 오후석 행정2부지사는 25억4810만원을 신고해 각각 5280만원, 1억986만원 이 증가했다.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43억348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는 전년도에 비해 3억8908만원 줄어든 것이다.
임 교육감 측은 지난해 모친 사망 등으로 인한 감소라고 전했다.
임 교육감은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토지(298㎡) 14억9199만원, 본인·배우자 명의의 분당구 아파트·상가·오피스텔 등 건물 10채·39억3430만원, 증권 7억1086만원, 예금 3억1836만원, 채무 23억5388만원 등을 신고했다.
이날 함께 경기도 도내 31개 시장·군수 평균 재산은 28억6265만원으로 나타났다. 최대호 안양시장이 50억6735만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고, 이어 이상일 용인시장 49억1790만원, 이권재 오산시장 27억7529만원, 백영현 포천시장 27억765만원, 백경현 구리시장 24억7762만원 순이었다.
경기도 소속 공공기관장과 시군의원 471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을 보면 전체 대상자의 평균 재산은 11억 8142만 원으로 전년도 평균인 11억 4114만 원보다 4028만 원이 증가했다.
신고액 구간별로는 1억 원 미만이 40명(8.5%), 1억~5억 원 미만이 142명(30.1%), 5~10억 원 미만이 115명(24.4%), 10~20억 원 미만이 104명(22.1%), 20억 원 이상이 70명(14.9%)이며, 10억 원 미만으로 재산을 신고한 경우가 전체의 63.1%인 297명이다.
지난해 신고액과 비교하면 282명(59.9%)은 재산이 증가했고, 189명(40.1%)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재산 증가의 주요 요인은 전년대비 공시지가 상승, 채무 감소, 가상자산 등 보유 자산 가액 증가이며, 감소 요인으로는 부동산 매도, 채무 증가, 기존 신고 대상의 등록제외(사망, 직계비속의 딸 혼인 등) 등이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