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 논란 속 국내에서도 오픈AI의 챗GPT 사용자가 크게 늘어나며 반사이익을 톡톡히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챗GPT의 모바일 주간 활성 이용자(WAU)는 이달 들어 200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연말연초 150만 여명의 주간 이용자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온 것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로, 챗GPT는 2월 첫째주(3~9일)의 경우 202만5546명으로 처음 200만 선을 넘었다. 이어 지난주(10~16일)에는 209만2797명으로 증가하며 상승세를 이어나갔다.
업계 관계자들은 “딥시크에 대한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보안 우려가 제기되면서 사용 금지 움직임이 확산되자 딥시크가 촉발한 AI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챗GPT 자채 수요로 대거 흡수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데이터 유출 정황을 이유로 이달 17일 딥시크 국내 신규 다운로드를 잠정 중단 시켰다.
챗GPT 일간 사용자는 딥시크 다운로드 금지 전날인 이달 16일 76만766명에서 중지 당일인 17일 82만9459명으로 늘었고, 다음날인 18일에도 85만5979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이런 추세는 한국 뿐 아니라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앞서 오픈AI 최고운영책임자(COO) 브래드 라이트캡은 20일 미국 CNBC와 인터뷰에서 “2월 기준 챗GPT 주간 활성 이용자수가 4억명에 이른다”고 공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3억 명에서 불과 2개월 만에 33% 증가한 수치다. 2억 명이었던 지난해 8월과 비교하면 6개월 만에 두 배로 늘었다. 기업 고객도 크게 증가, 유료 기업 이용자 수는 200만명으로 6개월 전보다 두 배 증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차량 공유업체 우버와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제약회사 모더나, 통신회사 T-모바일 등이 주요 고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