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께서 일반 병실로 오신 후 송석원 교수님이 첫 회진 때 ‘아버님이 살아나신 것은 정말 기적이었습니다’라고 말해주셨는데, 저야말로 교수님을 만난 것이 기적이었습니다.”
복부 대동맥류 파열로 35분간 심정지 상태였던 80대 환자가 의료진의 신속한 처치와 수술을 받고 기적적으로 살아난 사연이 전해졌다.
18일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9일 오전 10시께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소재 자택에서 샤워 중이던 권모(84) 씨가 갑자기 의식을 잃었다. 평소 치매를 앓던 권씨를 곁에서 돌보던 아들이 발견하고 즉시 119에 신고했다.
권씨는 평소 진료 받던 경기도 고양시 종합병원 응급실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의식이 돌아왔지만, 혈압이 여전히 낮아 위험한 상태였다. 검사 결과, 권씨는 북부 대동맥류 파열을 진단 받고 긴급 수술이 가능한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으로 전원됐다.
북부 대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이 장기로 가는 통로다. 동맥이 부풀다가 터지는 대동맥류는 순식간에 대량 출혈이 발생해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 골든타임이 따로 없다고 할 정도로 응급한 질환이다.
권씨와 보호자는 같은 날 오후 5시30분께 이대서울병원 내 이대대동맥혈관병원에 도착했지만, 권씨의 심장은 이송 도중 멈춘 상태였다. 송석원 이대대동맥혈관병원 교수진은 권씨가 도착하자마자 35분간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으나 심장이 뛰지 않아 수술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아들이 오열하며 “아버지가 오랫동안 치매를 앓았다. 아버지랑 마지막으로 제대로 된 대화를 해본 지가 너무 오래다. 꼭 소생시켜 달라”고 말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환자의 심장이 뛰기 시작했고, 송 교수팀은 때를 놓치지 않고 즉시 복부 대동맥 인조혈관 치환술(Graft replacement of abdominal aorta)을 시행했다.
3시간 동안 이어진 수술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수술 후 중환자실로 옮겨진 권씨는 약 3주 뒤 일반 병실로 이동할 정도로 호전했다. 권씨는 약 2달간 대동맥혈관 재활치료를 통해 심폐 기능 회복 및 근력과 지구력을 강화하는 등 집중 치료를 받았고, 이달 14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이러한 사연은 아들 권씨가 퇴원하며 남긴 송석원 교수님과 이대대동맹혈관병원 의료진들에게 드리는 글‘이라는 제목의 편지를 통해 알려졌다.
그는 편지에서 기적과 같이 다시 살아난 아버지에 대한 소중함과 아버지를 살린 송 교수를 포함한 의료진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달했다. 권씨는 “아버지가 일반 병실로 온 후 송석원 교수가 첫 회진 때 ’아버님은 정말 기적이었다‘고 말해주셨는데 저야말로 교수님을 만난 것이 기적이었다”고 전했다.
송 교수는 “매일 초응급환자를 마주하지만 이렇게 35분 동안 뛰지 않던 심장이 다시 뛰어 살아난 경우는 드문 사례로 그저 기적이라고밖에 할 수 없다”며 “아들의 간절한 염원 덕분에 기적이 일어난 것 같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