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방위적 관세 인상 압력에 높은 인도가 대미(對美) 관세율을 추가로 인하하는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18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부 장관은 17일 뭄바이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투자자 친화적인 국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관세를 지속적으로 인하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행사에서 투힌 칸타 판데이 인도 재무부 차관도 “인도에서 가장 중요한 30개 수입품에 대해서는 3% 미만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며 “매우 적은 수의 제품에만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이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해결될 일”이라고 주장했다.
인도 관료들이 이렇게 추가 관세 인하를 진지하게 검토하고 나선 것은 미국의 무역 압박 수위가 점점 더 높아지면서 경제 성장에도 적신호가 켜졌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도는 미국을 상대로 연 410억 달러(약 59조 원)에 달하는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2022년 기준으로 미국은 인도산 수입품에 평균 3.83%의 관세율을 적용하는 반면 인도는 미국산 제품에 15.30%를 부과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인도를두고 “무역에 있어 매우 큰 악당”이라며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수미야 칸티 고쉬 인도중앙은행 수석 경제 고문의 분석을 인용해 미국이 관세율을 15~20%로 올리면 인도의 미국 수출 총액이 3.0∼3.5% 줄어든다고 보도했다. 미국이 만약 20%의 일률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은 0.5% 감소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보복 관세를 피하기 위해 지난 13일 미국 워싱턴DC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기 직전 대미 평균 관세율을 11%로 낮추기로 결정하고 대형 오토바이와 버번위스키 수입 세율을 대폭 인하한 바 있다. 또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의 무역 적자 해소를 위한 협정 체결과 미국산 무기 구매, 에너지 수입 확대 등을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럼에도 당시 모디 총리 면전에서 “인도는 많은 상품에 대해 30~70% 관세를 부과하고 어떤 경우에는 그보다 더 높다”고 타박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