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한국조선해양(009540)이 소형모듈원전(SMR) 기술을 적용한 원자력 추진 컨테이너선을 공개했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이끄는 HD한국조선해양은 2030년까지 사업 모델 개발을 마쳐 해상 원자력 기술 상용화를 앞당길 계획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12일(현지 시간) 미국 휴스턴에서 열린 ‘휴스턴 해양 원자력 서밋’에서 1만 5000TEU(1TUE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원자력 추진 컨테이너선 설계모델을 최초 공개했다고 13일 밝혔다.
HD한국조선해양의 원자력 추진 컨테이너선은 실제 기자재와 안전설계 개념까지 반영해 경제성과 안전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앞서 미국 선급인 ABS로부터 기본인증(AIP)도 획득했다.
원자력 추진선은 기존 선박과 달리 엔진의 배기기관이나 연료탱크가 필요하지 않은 선박이다. HD한국조선해양은 선박 안에서 부피를 크게 차지하던 기존 기관실 기자재 공간에 컨테이너를 추가 적재할 수 있도록 해 경제성을 높였다. 스테인리스강과 경수를 사용한 이중탱크 방식의 해양 방사선 차폐 시스템도 적용해 안전성도 확보했다. 경수는 원자로에서 냉각재와 중성자 감속재로 사용되는 물이다.
아울러 글로벌 에너지 기술 기업인 베이커 휴즈와 공동 개발한 초임계 이산화탄소 기반 추진 시스템을 적용해 기존 대비 열효율을 5% 개선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기반 추진 시스템은 저온과 저압에서도 고효율 발전이 가능해 차세대 발전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패트릭 라이언 ABS 최고기술경영자는 “원자력 추진선은 탄소 중립이 대두되는 현 조선 시장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는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2030년까지 해상 원자력 사업 모델 개발을 마친 뒤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박상민 HD한국조선해양 그린에너지연구랩 부문장(상무)은 “HD한국조선해양은 원자력 추진선 상용화에 필요한 국제 규정 마련을 위해 주요 선급뿐 아니라 국제 규제기관과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며 “육상용 SMR 원자로 제작 사업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해상 원자력 사업 모델 개발을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HD한국조선해양은 지난해 2월부터 테라파워와 차세대 SMR 공동연구를 진행하며 관련 기술 개발에 나섰다. 테라파워는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의 SMR 전문 기업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