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한 시점부터 내란 프레임과 탄핵 공작이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6일 윤 대통령은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6차 변론기일에서 곽 전 사령관에 대한 증인 신문이 끝난 뒤 직접 발언권을 얻어 “내가 특전사령관에게 전화한 것은 당시 TV 화면으로 국회 상황이 혼잡해서 현장 안전 문제에 대해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내가 ‘인원’이라고 얘기했다고 하는데, 사람이란 표현을 놔두고 의원이면 의원이지 ‘인원’이란 말을 써본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저께와 오늘 상황을 보니까 지난해 12월 6일 홍장원의 공작과 (곽종근) 특전사령관의 김병주 TV 출연부터 바로 이 내란죄와 탄핵 공작이 시작된 것으로 보여진다”면서 “전날 검찰에서 다 얘기해놨는데 10일 오전에 대통령을 생각해 감추는 척하면서 오후에 두 번 통화했다고 말한 것 자체도 다분히 의도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곽 전 사령관은 이날 증인신문에서 “윤 대통령이 ‘아직 국회 의결 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인원을 끄집어 내라’고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지난해 12월 10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 질의 당시 윤 대통령과 통화 횟수를 한 번에서 두 번으로 정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파급력이 너무 크다고 생각해 멈칫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변론기일에서 윤 대통령과 곽 전 사령관의 주장이 엇갈리면서 헌재 재판관들이 어느 쪽의 손을 들어주게 될지 주목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