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가형 인공지능(AI) 모델 출시에 힘입어 국내의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들도 일제히 고공비행을 하고 있다. 딥시크의 등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이어지는 미국의 대중(對中) 무역 규제 악재를 확연히 잠재운 분위기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지난달 20일부터 31일까지 16.80% 상승해 국내 모든 ETF 가운데 가장 많이 올랐다. 이 기간 강한 상승세를 보인 중국 기술주 관련 ETF는 이뿐만이 아니다. ‘KODEX 차이나H레버리지(12.55%)’ ‘ACE 차이나항셍테크(8.96%)’ ‘TIGER 차이나항셍테크(8.36%)’ ‘RISE 차이나항셍테크(8.13%)’ ‘KODEX 차이나항셍테크(7.84%)’ 등 수익률 상위 8개 종목 가운데 6개를 중국 기술주 관련 상품이 채웠다. 이들은 특히 31일 하루에만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가 7.34%나 오르는 등 최근 들어 오름폭을 더 키우고 있다.
이는 올초 주가 흐름과는 크게 상반되는 현상이다. ‘TIGER 차이나CSI300레버리지(-12.85%)’ ‘ACE 중국본토CSI300레버리지(-11.06%)’ ‘TIGER 차이나전기차레버리지(-10.19%)’ 등 중국 관련 ETF들은 올 들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전인 17일까지만 해도 관세 폭탄 우려로 줄줄이 시장 최악의 수익률을 기록한 바 있다.
중국 기술주 관련 ETF들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거꾸로 강세를 보이는 것은 최근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고성능의 AI 모델을 개발한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현지 기업들에 대한 기대도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 기업들이 독주하는 줄 알았던 AI 시장에서 중국이 뚜렷한 경쟁자로 부상하자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규제도 이 분야에서는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백승혜 하나증권 연구원은 “딥시크의 비용 효율성 수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적은 투자로 매우 훌륭한 모델을 만들었다는 사실에 관해서는 이견이 없다”며 “미국의 거대 언어 모델(LLM) 기술을 중국이 따라잡았다는 점만으로도 글로벌 업계에 큰 충격”이라고 분석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딥시크 충격 이후 미국의 중국 견제가 더 강화될 것으로 보고 양국의 기술 경쟁으로 시장의 관심이 AI 관련주로 당분간 더 쏠릴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 국내 투자자들은 딥시크 충격 속에서도 지난달 20~31일 엔비디아를 3억 4402만 4875달러(약 5017억 원)어치 순매수해 전체 해외 주식 가운데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으로 이름을 올렸다. 엔비디아 수익률을 2배 추종하는 레버리지(차입) ETF인 ‘그래니트셰어즈 2배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도 2억 2172만 8166달러(약 3233억 원)어치 순매수했다. 엔비디아의 주가가 딥시크의 등장으로 급락했음에도 반등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저가 매수에 나선 셈이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딥시크는 AI 강화학습 데이터 비용은 전체 비용에 포함하지 않았다”며 “미국이 중국과 격차를 벌리기 위해 AI 데이터센터 확충 지원을 강화할 수 있어 전력 인프라 관련주 등에 주목할 만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