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드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에 따라 전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칠 수 있다는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금융시장에서는 트럼프의 고강도 정책이 몰고 올 ‘광기 프리미엄(insanity premium)’으로 국채금리가 5%를 넘어서거나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다시 인상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18일(현지 시간) 미국 정치 매체 더힐과 AP통신 등은 트럼프가 취임 당일 약 100개의 행정명령에 대한 서명을 준비 중이라고 보도했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는 이날 “100여 개 행정명령의 중심에는 불법 이민자 축출과 관세가 있을 것”이라며 “첫날 발표되는 관세의 범위와 강도에 따라 취임과 함께 세계경제의 재편이 시작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시장에서는 트럼프의 행정명령 발표만으로 국채 시장의 급등이 초래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지난해 9월 3.6% 수준이었던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현재 4.6%로 상승한 배경에는 이미 트럼프 정책에 대한 우려가 반영돼 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뉴욕대 교수는 “미국 국채 수익률은 (트럼프의) 광기 프리미엄 때문에 오르고 있다”며 “연준의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국채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앞으로의 상황에 대한 신호”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취임 이후 연준이 금리 인하 기조를 뒤집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애덤 포즌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소장은 “트럼프의 세금 인하, 관세, 이민 정책이 온화한 수준으로 시행되더라도 이는 인플레이션을 부른다”며 “연준은 올여름 금리를 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달 23일로 예정된 일본은행(BOJ)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도 트럼프 정책과 함께 금융시장에 혼란을 몰고 올 요인으로 꼽힌다. BOJ 내부에서 금리 인상 찬성 여론이 커지면서 지난해 7월 말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 당시 나타났던 ‘블랙먼데이’가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BOJ의 금리 인상은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수요로 미국 등 해외 자산 매도세를 불러올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