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로봇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로 무장한 한국형 스마트팜(지능형 농장) 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1월 윤석열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순방을 통해 우리 스마트팜 기업이 현지 기업과 5600만 달러(738억 원) 규모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가능성도 확인했다. 이에 정부는 K스마트팜 산업을 새로운 수출 주력 분야로 보고 육성 및 수출 확대 지원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26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스마트팜 업계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스마트팜 수출액은 전년 1억 달러(잠정) 대비 70% 늘어난 1억 7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1억 달러 수출을 이미 달성했지만 이후 코로나19 등으로 수출 실적이 크게 쪼그라든 상태였다가 지난해 다시 1억 달러를 회복했고 올해는 7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스마트팜 수출 실적이 있거나 진행 중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올해 수출액 예상 조사를 한 결과 수출액(통관 기준)으로 평균 7000만 달러가 더 나왔다”며 “수출 국가도 다변화해 일본·중국을 넘어 최근에는 중동·동남아·호주 등에서 수출 상담 문의가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스마트팜 산업이 전 세계로부터 주목받는 것은 뛰어난 ICT가 융합·접목돼 성장 잠재력이 높기 때문이다. 스마트팜은 크게 온실에 첨단 ICT 장비를 설치한 ‘지능형 온실’과 최근 떠오르고 있는 ‘도심형 복합수직농장’으로 나뉜다. 지능형 온실은 유럽이 기술적으로 선도하고 있고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이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럽에 크게 떨어지지 않는 농업기술에 유럽을 능가하는 첨단 ICT를 더해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도심형 복합수직농장은 발광다이오드(LED)와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건물 안에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이다. 전 세계적으로 아직 초기 단계라 ICT를 발판으로 한 K스마트팜의 시장 선점 가능성이 가장 높은 분야로 꼽힌다. 토양의 면적과 물 사용량이 적고 면적 대비 생산량이 많아 외부 환경이 척박한 중동 지역 등에서 선호하고 있다. 실제 최근 국내 스마트팜 기업 수출의 상당 부분이 UAE·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를 ‘K스마트팜 수출 원년’으로 삼고 관련 체계 재정비와 수출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우선 그동안 농식품 수출 금액과 함께 집계돼 정확히 파악되지 못했던 스마트팜 수출 금액을 따로 집계하기로 했다. 스마트팜 산업의 수출 계약이 설계, 시공, 운영, 인력 교육 등 턴키(일괄 입찰)로 수주되는 점을 반영해 통관 기준인 수출 금액 대신 수주 금액으로 집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수출 금액이 아닌 수주 금액으로 집계할 경우 올해 수출 목표인 1억 7000만 달러보다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며 “스마트팜 수출 집계를 별도로 하고 통관 기준이 아닌 수주 기준으로 바꾸는 방안을 이르면 올 상반기 중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팜 산업 지원도 특성에 맞게 진행된다. 한 국가에서도 지역별로 기후 편차가 큰 호주·중동·베트남 등에 한국형 시범 온실인 스마트팜을 구축하고 수출 거점으로 활용한다. 또 ‘스마트팜수출지원단’을 만들어 중동·동남아 등에서 ‘K스마트팜 로드쇼’를 펼쳐 바이어와 수출 기업 연계를 돕고 국제박람회 참가도 지원한다. 아울러 민간 자본을 활용한 ‘스마트농업펀드’를 200억 원 규모로 조성하고 1000억 원 규모의 수출 융자 등 전용 자금 지원 시스템도 확충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