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68년 창사 이후 53년 만에 포스코가 물적 분할 방식을 통해 지주회사로 재탄생한다. 철강 사업을 하는 포스코가 사업 자회사를 두고 신성장 사업을 투자하는 ‘포스코홀딩스’ 지주사로 거듭나는 것이 골자다. 철강 사업은 따로 떼어내 신설 자회사가 맡고 비상장으로 둔다. 관건은 주주들이 얼마나 동의하냐다. 내년 1월 말로 예정된 임시 주주총회에서 80%에 달하는 외국인·기관 투자자, 개인 투자자의 표심이 포스코그룹의 지주사 전환 여부를 가를 전망이다.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 포스코가 철강사업 자회사의 상장을 지양하는 정관을 마련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해둬서다.
10일 포스코는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이사회를 열고 물적 분할 방식의 지주회사 전환 안건을 의결했다.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는 상장사로 남게 된다. 포스코그룹의 지주사로서 미래 신사업 발굴, 그룹 사업·투자 관리, 연구개발(R&D),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전략 수립을 총괄한다. 철강 사업 회사 포스코는 물적 분할돼 포스코홀딩스가 100% 소유하는 자회사가 된다. 기존 주주가치를 훼손하지 않기 위해 상장은 하지 않기로 했다. 포스코그룹은 앞으로 신설할 지주사 산하 법인의 상장도 지양할 방침이다.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포스코그룹은 미래 핵심 사업의 경쟁력을 높인다. 포스코그룹은 철강, 2차전지 소재, 리튬 및 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 및 인프라, 식량을 신성장 사업으로 낙점했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 기업가치를 현재의 3배 이상으로 높인다는 목표도 세웠다.
포스코그룹은 “과거에도 수차례 지주사 전환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과거 경험해보지 못한 혁명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시점이야말로 경영 구조 재편에 최적기라는 이사회의 공감대가 있었다”며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미래 신사업 기회를 발굴·육성하고 그룹 사업 간 시너지 창출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의 지주회사 체제 전환은 내년 1월 28일에 열릴 임시 주주총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최정우의 ‘신경영’…지주사 밑에 철강·배터리·수소 ‘3형제’ 포진
■포스코, 지주회사 전환
저탄소 전환기에 지주사필요 판단
친환경 신성장 사업 육성에 사활
신설 자회사는 비상장 유지 방침
내년 1월 주총서 주주동의가 관건
포스코의 지주회사 체제 전환은 ‘신성장 동력 확보’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서다. 포스코의 뿌리인 철강 산업은 갈수록 강화하는 환경 규제, 중국의 저가 공세에 밀려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수소·전기차·2차전지 등 미래 먹거리를 키워놓지 않으면 포스코그룹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에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주사 전환을 결단한 것이다.
10일 포스코는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이사회를 열고 물적 분할 방식의 지주회사 체제 전환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 안건은 내년 1월 임시 주주총회를 거쳐 최종 결정된다. 포스코의 대규모 지배구조 개편 추진은 지난 2000년 민영화 이후 21년 만이다.
포스코가 지주사 전환을 추진한 배경으로는 저탄소·친환경 시대로의 대전환이 꼽힌다. 그간 포스코는 ‘산업의 쌀’인 철강 제품 생산으로 자동차·조선·건설 등 전방 산업에 원자재를 공급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철강 산업 특성상 막대한 탄소 배출에 따른 높은 탄소 배출 저감 의무를 졌다. 철강 산업만으로는 향후 높아지는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책임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포스코그룹이 수소, 2차전지 소재, 전기차 등 친환경 신성장 사업 투자와 육성에 사활을 거는 이유다. 다만 기존 철강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형 지주사 포스코로는 신성장 사업에 전념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이번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철강 사업 자회사를 신설해 관리하면서 지주사는 미래 신사업 발굴과 사업 및 투자 관리에 집중하려는 것이다.
기업가치 제고 측면에서도 지주사 전환이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포스코그룹의 한 관계자는 “포스코는 2차전지 소재, 수소 등 유망 신사업을 추진하는데도 철강 중심 기업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라 시장에서 제대로 된 가치를 평가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홀딩스 지주사 전환 작업이 완료되면 신사업이 부각되며 기업가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포스코는 오는 2030년까지 포스코그룹의 기업가치를 현재 대비 3배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포스코그룹은 지주사 아래 미래 핵심 기반 사업을 두고 각 사업의 시너지 창출, 경쟁력 제고, 신사업 발굴 및 육성 작업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철강, 2차전지 소재, 리튬 및 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 및 인프라, 식량 등 그룹의 핵심 기반 사업의 균형 있는 성장 체제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철강사업의 경우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수소 환원 제철 기술 완성이 목표다. 이를 위해 철강 전담 사업회사가 저탄소 생산 기술 연구개발(R&D)과 생산 체제 전환을 주도한다. 2차전지 소재 사업은 2030년까지 양·음극재 생산능력 68만 톤까지 확대, 선도 기술 확보로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리튬·니켈 사업은 이미 확보한 자체 광산·염호와 친환경 생산 기술을 활용해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한다. 추가 원료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 2030년까지 리튬은 22만 톤, 니켈은 14만 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출 방침이다. 수소 사업은 목표치를 더 높였다. 7대 전략 국가 중심의 블루·그린수소 글로벌공급망(GVC) 구축과 핵심 기술 개발 투자 등을 통해 2050년까지 700만 톤 생산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기존 목표치인 500만 톤보다 200만 톤 더 높여 잡았다.
관건은 주주들의 동의 여부다. 포스코는 내년 1월 28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지주사 전환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주주들의 우려를 불식시킬 장치를 마련했다. 포스코는 철강 회사의 비상장 유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신설 철강 회사의 정관에 ‘제3자 배정, 일반 공모’ 등 상장에 필요한 규정을 반영하지 않을 예정이다. 그러나 ‘반대표’가 상당수 나올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 현재 포스코 대주주인 국민연금은 앞서 LG화학의 물적 분할 승인 사안을 두고 의결권 행사에서 ‘반대’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현재 포스코의 지분을 보면 국민연금공단(9.75%)과 시티뱅크.N.A(7.3%), 우리사주조합(1.41%) 등이 18%가량을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 80%의 지분은 외국인투자가와 기관투자가, 개인 투자자 등이 나눠 갖고 있다. 사실상 이들이 포스코의 지주사 전환 여부의 키를 쥐고 있는 셈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