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파산 위기에 놓인 헝다를 연일 압박하고 있다. 일각에서 제기된 ‘대마불사(大馬不死)론’을 반박하고 지방정부에 헝다의 파산 위기에 대비할 것을 지시하는 등 수위도 높이고 있다. 시장에서는 헝다의 디폴트(채무 불이행)는 기정사실이며 당국이 국유화 등을 통해 ‘통제된 철거’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3일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헝다 대마불사는 없다(Evergrande ‘not too big to fail’)”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총이 톈진대 금융경제학 교수는 “헝다는 대마불사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정부의 긴급 구제는 최근 몇 년간에 걸친 중앙정부의 금융 변동성 대처 원칙과도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헝다에 대한 구제금융은 없을 것이며 이를 기대하지 말라는 정부의 의중을 관영 언론을 빌려 드러냈다는 분석이다.
총이 교수는 헝다의 이번 위기는 예상됐던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헝다그룹은 자본 비축을 통해 발전했으며 생수나 뉴에너지 자동차와 같은 사업과는 관련이 없다”며 “헝다의 위기는 부채에 의존하며 급속하게 확장하는 분야를 감독하겠다는 당국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헝다는 중앙정부의 방침과 달리 부채를 통한 무리한 부동산 투자·사업 확장으로 위기를 맞은 만큼 정부가 책임질 사안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다만 중국 정부가 헝다의 파산을 지켜보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당국이 각 지방정부에 헝다의 파산 위기에 대비하고 후속 조치를 준비할 것을 지시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매체는 당국이 지방정부 기관과 국영 기업들에 헝다그룹이 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할 경우 개입하도록 했으며 지방정부는 전문가들을 소집해 헝다의 재무 사항을 검토하도록 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국유화의 움직임으로 본다. CNBC와 대만 자유시보 등은 앞서 헝다가 부동산과 금융·전기차 등 3~4개 국영 기업으로 재편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 정부가 앤트그룹의 대출 사업 부문 국유화에 나선 것처럼 헝다의 핵심 사업만을 떼어내 국유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디폴트 이후 정부가 본격 개입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2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스위스 프라이빗 뱅크인 롬바르오디에는 “헝다의 취약한 재무 상태를 고려할 때 중국 정부가 디폴트 이후에 개입하는 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슈뢰더투신운용도 “중국 정부가 헝다의 무질서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며 “중국 정부가 헝다의 프로젝트를 쪼개서 국유 기업에 인수하라고 할 것”으로 예상했다.
헝다는 사면초가에 몰렸다. 23일 위안화 채권 이자 2억 3,200만 위안(약 425억 원)은 갚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장외 방식의 협상을 통해 해결했다는 게 외신의 보도다. 사실상 사적 협상을 통한 해결로 지급 시한의 연장 등 미봉책이 동원됐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오는 2025년 9월 만기 역외 채권 20억 달러에 대한 이자 8,350만 달러도 한 달간의 유예 때문에 디폴트 처리되지 않았을 뿐이다. 이미 헝다는 전기차업체인 헝다자동차 등 그룹 직원에 임금을 체불하고 있고 협력사 대금도 지급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금융 감독 당국이 달러 채권에 대한 단기 디폴트를 피하기 위해 채권단과 적극 소통할 것을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통신은 당국이 헝다에 채권 상환을 위한 재정 지원을 시사하지는 않았다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지침도 주지 않았다고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