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함안군 함안면 강명리 통일신라시대 사찰터에서 금동불좌상과 사찰명이 적힌 기와편이 확인됐다.
(재)불교문화재연구소는 문화재청, 함안군과 공동으로 강명리 광려산 폐사지 발굴조사를 진행해 고려시대 금동불좌상, 의곡사(義谷寺)라는 사찰명이 적힌 기와편 등을 발굴했다고 19일 밝혔다.
발굴이 진행된 광려산은 함안군과 창원시 경계에 위치한 산으로 능선을 따라 곳곳에 석조불상과 절터, 석탑 등 불교유적이 확인되는 불교문화의 중심지다. 그 중 강명리사지는 광려산 남동쪽 사면 중단부에 위치한 통일신라~고려시대 절터다.
이번에 출토된 고려시대 금동불좌상은 높이 8㎝로 연화대좌와 일체형으로 제작돼 불상 육계와 통견가사, 수인, 광배를 거는 고리 등 원형이 잘 유지돼 문화재로서의 가치도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불상 좌·우측은 연결흔이 확인되고 연화대좌 바닥에는 촉(鏃)이 있는 것으로 봤을 때 제작 당시 삼존불 형태로 만들어져 불감 내부에 모셨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함께 출토된 '義谷寺(의곡사)' 기와편과 '重熙十五年(중희15년, 1046년)' 기와편은 당시 의곡사의 위세와 사명을 알 수 있는 귀중한 고고학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의곡사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돼 고려시대까지 사세를 이어갔으며, 여러 번 중수가 확인될 정도로 전성기를 이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불교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강명리사지 발굴조사는 함안지역 불교문화연구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강명리사지에 대한 추가조사와 문화재 지정, 정비, 복원 등이 연계된다면 의곡사는 함안지역의 대표 유적지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