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입차 관세 결정이 지연되는 가운데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이 수입차와 부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것을 계기로 무역갈등을 빚고 있는 유럽연합(EU)을 겨냥해 경고 메시지를 내놓은 것이라는 해석이 많지만 우리나라도 최종 제외판정이 나기 전까지는 안심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로스 장관은 이날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개별 기업들과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매우 좋은 이익을 일부 거뒀다”면서도 “(앞으로) 관세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관세적용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산 자동차가 미국의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보고 25%의 관세를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워싱턴 정가에서는 EU를 1차 타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통해 자동차 분야에서 양보를 얻어냈고 일본과는 새 무역협정을 체결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전쟁을 전방위로 확대하고 있고 방위비 협상에서 주한미군 철수까지 거론하고 있다는 게 변수다. 로이터통신은 “로스 장관이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관세부과 여부 발표를 위한) 새로운 데드라인은 없다고 했다”고 전했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