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은 무선통신 활용이 가능한 열차 통합신호시스템을 상용화한다고 20일 밝혔다.
현대로템은 서울교통공사와 함께 현대로템이 개발한 통합신호장치를 적용한 하남선(5호선 연장 노선, 상일~하남검단산) 열차의 복합 신호시스템 운행 테스트를 마쳤다고 밝혔다. 하남선 열차는 2020년 상반기에 개통될 예정이다. 현대로템과 서울교통공사는 19일 고덕차량기지에서 복합 신호시스템 운행시연회를 했다.
현대로템은 무선신호와 비무선 신호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통합신호장치를 2016년부터 자체개발해 작년 9월 완료했다.
이번 상용화를 앞둔 현대로템의 통합신호장치는 차량 내 별도 신호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선통신(RF-CBTC)과 비무선 방식의 신호정보(ATC/ATO)를 모두 통합 수용할 수 있어 노선에 어떤 방식의 신호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어도 열차의 운용이 가능하다.
비무선 방식의 신호시스템은 관제소에서 일방적으로 운행신호를 열차에 보내지만 무선통신 방식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때문에 관제소와 열차간 열차상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어 운행시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남선은 현대로템이 개발한 통합신호시스템 적용을 통해 추가장치 설치 없이 무선통신 신호시스템 운용이 가능하다. 다만 현재 운행되고 있는 서울 5~8호선에는 비무선 방식의 신호시스템이 적용돼 있어 향후 열차 자동화를 위해 차량에 별도의 신호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현재 서울교통공사가 교체를 앞두고 있는 약 1,300량의 노후전동차 교체물량에 해당 통합신호장치를 적용할 경우 약 200억원대의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게 현대로템 측 설명이다.
/한동희기자 dwis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