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조피렌은 유엔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로 오염된 생약 원료나 생약 추출·건조·착유공정 등 가공 도중 생성될 수 있다.
신한승 동국대 바이오메디융합연구원 교수는 지난 3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생약연구과가 개최한 한약재·한약(생약)제제 벤조피렌 워크숍에서 이같이 밝혔다.
신 교수에 따르면 한약재에 상대적으로 에너지량이 적은 자외선A와 에너지량이 많은 자외선B를 각각 5일간 쬐어주면 벤조피렌이 66%, 71% 감소했다. 또 한약(생약) 내 벤조피렌 오염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데 자외선A는 3.7일, 자외선B는 2일이 걸렸다. 자외선B가 벤조피렌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한다는 얘기다.
사람의 경우 파장이 긴 자외선A는 피부 깊숙이 침투해 진피까지 손상시켜 주로 피부 노화와 기미·주근깨·잡티 증가시킨다. 자외선B는 주로 일광화상과 피부암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신 교수는 이어 “생약 원료에 벤조피렌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하려면 천연물(생약) 원료의 산지 주변 환경관리와 세척, 원산지 확인이 필요하다”며 “한약재 건조 공정에서 냉풍건조를 하고, 지방을 빼내는 공정에서 광목천이나 한지로 걸러내는 것도 벤조피렌 오염량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식약처 한약정책과 박예정 주무관은 “한약재에서 가장 효과적인 벤조피렌 저감법은 원산지 변경이었다”고 설명했다.
식약처는 이날 한약재 벤조피렌 저감화 3단계 정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1단계는 생산량 상위, 검출이력 한약 규격품 약 200종을 대상으로 벤조피렌 오염도 조사를 한다. 2단계는 1단계 오염도 조사 결과에서 검출량 상위 품목에 대해 전수조사를 한다. 3단계는 품목별 전수조사 결과에 따른 관리대상품목에 대해 저감화 관리를 한다.
강주혜 생약연구과장은 “사용량이 많은 한약재 외에 제조공정상 벤조피렌 검출 가능성이 높은 한약재에 대한 관리도 함께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식약처는 국민청원을 통해 제기된 고본·대황·방기·숙지황 등 17종(274품목)에 대한 벤조피렌 오염량 검사 결과 인체에 위해 우려가 낮거나 무시할 수준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