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결과는 정책에 반영하고 예산 등을 투입해 인재 키우기를 지원할 방침이다. 그동안 민간에 맡겨온 원자력 인재 육성을 앞으로는 정부가 직접 챙기겠다는 포석이다. 이렇게 일본 정부가 앞장서 인재 확보에 나서는 것은 원전 경쟁력 약화에 대한 위기감 때문이다. 실제 세계 최고 수준이던 일본 원전산업은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사고의 여파로 크게 위축됐다. 특히 우수 인력의 이탈이 심각한 상황이다. 현재 원자력 관련 학과 학생 수가 사고 이전에 비해 절반 이하로 감소했을 정도다. 합동회의 신설은 이런 원전산업 쇠퇴를 방치해서는 미래가 없다는 일본 정부의 의지가 담겨 있다. 무엇보다 원전시장의 강자로 부상한 중국· 러시아와의 수주경쟁에서 이기려면 신기술 개발이 필수적인데 이에 필요한 인재를 키우는 게 절실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원전 인력의 엑소더스에 눈을 감고 있는 우리 정부와는 대조적이다. 탈원전정책으로 원전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인력 이탈이 가속화하는 등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는데도 정부는 정책 전환 탓이 아니라고 강변하고 있다.
초우량기업이던 한전이 1·4분기 창립 이후 최악의 실적을 낸 데 대해서도 유가 등 대외환경 탓만 하고 있으니 답답한 노릇이다. 원전 가동률을 무리하게 낮추는 바람에 값비싼 에너지 구입을 늘린 것이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지배적인데도 둘러대기에 바쁘다. 이제라도 일본이 왜 후쿠시마 트라우마에도 원전을 키우려고 하는지 정부는 되새겨보기 바란다. 탈원전 궤도 수정으로 그동안 쌓아온 원전 경쟁력이 속절없이 사라지는 것은 막아야 하지 않겠는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