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지방 공기업과 지방출자·출연기관 등 산하 공공기관도 운영비를 결제할 때 모바일 간편결제 시스템인 ‘제로페이’와 ‘직불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지방 공공기관 업무추진비 결제수단을 확대하도록 ‘지방 공기업 예산편성기준’과 ‘지방출자출연기관 예산집행기준’을 개정한다고 27일 밝혔다.
기존에는 업무에 필요한 공금을 신용카드만 결제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전국 151개 지방 공사·공단과 702개 지방출자·출연기관에서도 제로페이와 직불카드 사용이 가능하게 됐다.
관련기사
제로페이와 직불카드를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려는 지방 공공기관은 상반기 중으로 중소벤처기업부가 구축하는 제로페이 법인용 시스템에 자체 예산회계시스템을 연계해야 한다. 또 제로페이와 직불카드는 사용 즉시 대금이 지급되는 만큼 회계관계관이 증명서류 등을 명확히 확인하게 하는 등 회계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한 규정 정비도 필요하다.
제로페이는 가맹점이 부담하는 수수료가 없고 직불카드(0.5∼1.1%, 연 매출 8억원 이하 기준)는 신용카드(0.8∼1.4%)보다 수수료율이 낮다.
고규창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이번 제도개선으로 전국의 지방 공공기관도 제로페이와 직불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며 “이를 통해 소상공인들의 카드 수수료 부담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김정욱기자 mykj@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