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르노삼성자동차수탁기업협의회와 부산상공회의소가 발표한 공동성명서를 보면 두 단체는 진전없는 협상과 27일까지 총 152시간에 달하는 파업으로 협력업체들과 부산·경남 지역 경제가 모두 큰 위협 상황에 놓이게 됐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협력업체들의 경우 본격적인 파업이 시작된 지난해 12월 이후 예상치 못한 휴업과 단축근무가 지속하면서 인력 이탈과 함께 1,100억 원에 달하는 손실이 봤다고 언급했다. 또 많은 중소 및 영세 협력회사들은 자금난 심화로 사업 존폐의 기로에 몰려있고 구조조정으로 인해 수많은 근로자가 실직의 아픔을 겪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르노삼성자동차 노사가 과거 르노삼성자동차의 상생 DNA와 건강한 노사 문화를 하루빨리 회복해 부산공장의 조속한 정상화를 이뤄 달라고 당부했다.
르노삼성차의 한 협력업체 대표는 “르노삼성차가 한번 파업을 할 때마다 우리 회사는 5,000만 원씩 직접적인 손실이 입는다”며 “만약 3월8일까지 임단협 결론이 나지 않아 향후 신차 물량 확보가 불투명해 지면 회사 경영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설명했다.
두 단체의 공동성명서 발표에 대해 부산시민단체 박인호 대표는 “르노삼성 협력업체 중 부산·경남 지역에 위치한 90곳이 1조2,000억 원 이상의 매출로 전체 협력업체 매출의 55%를 차지하고 있고 1만2,000명 이상의 지역 인재들의 고용을 책임지고 있다”며 “소모전 양상의 노사대립이 지속하면 그만큼 지역 경제에도 큰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고 조속한 부산공장 정상화 요구에 목소리를 더했다.
한편 르노삼성자동차의 1차 협력업체는 전국 260곳으로 이중 대기업과 중견기업을 제외한 중소 협력업체의 종업원 수는 약 6만4,000명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