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데이터센터 구축, 신도시·산업단지 조성 등으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는 와중에 에너지 효율성 제고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적극 나선다. 탄소 배출량은 8년새 13% 가량 감축하는 한편 신재생 에너지 공급 규모는 7년간 4배 정도로 키운다.
부산시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추진할 중기 에너지 정책 방향을 담은 ‘제7차 지역에너지계획’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시는 이번 계획을 통해 폭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에너지 절감을 중심으로 에너지 전환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계획에는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분산형 전원 보급, 에너지 수요 절감, 온실가스 감축 등이 주요 목표로 담겼다.
시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을 13.5%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태양광·해상풍력·연료전지 중심의 공급부문 21개, 산업·수송·건물을 포함한 수요관리부문 53개를 포함한 74개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은 2023년 738GWh에서 2030년 3620GWh로 390%가량 확대할 방침이다.
에너지 수요관리 부문에서는 산업·건물 부문의 에너지 절감을 위해 시설개선과 에너지 진단을 병행하고 시민 참여형 발전사업과 교육·홍보를 강화한다. 취약계층 대상 에너지바우처 등 복지 사업도 병행해 에너지 형평성 확보에도 나선다.
분산형 전원 역시 대폭 확대한다. 연료전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포함한 분산형 전원 보급은 2023년 1054GWh에서 2030년까지 3936GWh로 약 274% 늘릴 계획이다.
시는 또 2030년 최종에너지 소비량을 기준수요 735만 TOE(석유환산톤)에서 622만 TOE로 15.3% 감축한다. 지구온난화의 대표적 주범으로 지목되는 온실가스는 2022년 2492만 톤 CO₂eq(이산화탄소환산량) 대비 13.2% 줄인 2164만 톤 CO₂eq으로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시 관계자는 “에너지와 온실가스 연계 산정방식을 도입해 사업별 감축 효과를 정량화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계획은 시민 104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공청회, 청년세대 소통 프로그램 등을 통해 시민 의견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수립됐다. 아울러 전문가 워킹그룹과 실무단 논의를 거쳐 시 에너지정책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확정됐다.
박형준 부산 시장은 “4차 첨단산업은 부산의 미래 성장동력이지만 이에 따른 전력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통해 녹색 도시 부산을 실현하고 관련 산업이 지역경제 성장의 기반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