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대를 이어 독립운동에 투신해온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의 가계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 회장의 조부인 신예범 선생과 백부 신용국 선생, 선친이자 교보생명 창업주인 신용호 전 교보생명 회장이 독립운동에 헌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의 조부인 신예범 선생은 일제강점기 야학을 열어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일본인 지주의 농민수탈에 항의하는 소작쟁의를 주도했다. 신 회장의 백부인 신용국 선생도 부친의 영향을 받아 스무 살 때 3·1운동에 뛰어든 뒤 호남 지방의 항일운동을 이끌었다. 이후 수차례의 옥살이를 하고 출옥한 후에도 일본 경찰의 감시망을 피해 오랜 객지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신용국 선생은 전남 영암의 대표적 농민항일운동인 ‘영암 영보 형제봉 사건’에서 일본 소작인 응징과 항일 만세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6개월간 옥고를 치른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지난해 11월 독립유공자 대통령표창이 추서됐다.
신 전 회장은 스무 살에 중국으로 건너가 사업을 하다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던 이육사를 만나면서 독립운동에 눈을 뜨게 됐다. 신 전 회장이 당시 “반드시 큰 사업가가 돼 독립운동 자금을 내놓겠다”고 하자 이육사가 “대사업가가 돼 헐벗은 동포들을 구제하는 민족자본가가 되기 바란다”며 격려했다는 이야기는 유명하다. 신 전 회장은 1940년 중국 베이징에 ‘북일공사’를 설립해 곡물유통업으로 큰 성공을 거둔 뒤 수익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지원했다. 신 전 회장은 이후 ‘교육이 민족의 미래’라는 신념 아래 교육보험 사업을 결심하고 교보생명을 설립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국민교육 진흥과 민족자본 형성이라는 창립이념은 이육사 등의 독립운동가와 교류하면서 창업주인 신 전 회장이 깨달은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창립철학은 지금도 교육보험과 교보문고·교보교육재단·대산문화재단 등을 통해 이어져 오고 있다. 신 회장 역시 지난 1996년 서울대 의대 교수를 마다하고 부친의 철학을 이어받기 위해 교보생명 대표에 오른 뒤 다양한 활동을 이어왔다 .
신 회장은 교보교육재단을 통해 ‘체·인·지 리더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대산문화재단을 통해서는 해외 번역과 출판 사업 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소설가 한강이 ‘채식주의자’로 맨부커상을 수상한 것도 대산문화재단의 후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같은 공로로 신 회장은 부친인 신 전 회장이 1996년 금관문화훈장을 수훈한 데 이어 22년 만인 지난해 은관문화훈장을 받는 등 부자가 동시에 문화훈장을 받게 됐다. 신 회장은 선대의 독립운동 정신을 이어받아 현시점에 맞게 재해석해 조용히 국가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박진용기자 yong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