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지난 9월 평양 정상회담에 총수급이 동행했던 국내 주요 그룹에 ‘대북사업 보고’를 전화로 요구했다가 갑작스럽게 취소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내 언론의 관련 보도가 잇따르자 미 재무부가 남북 경협에 대한 제재를 취하는 모습처럼 비쳐질 수 있다는 우려에 발을 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앞서 미 재무부는 주한 미국 대사관을 통해 삼성과 현대자동차·SK·LG·포스코·현대 등 방북 수행단에 포함됐던 6개 그룹에 대북사업 현황자료를 제출하고 실무급 대북사업 담당자를 중심으로 콘퍼런스콜(전화회의)을 요청해 논란이 됐다.
A그룹의 한 고위관계자는 1일 “최근 미 대사관으로부터 콘퍼런스콜을 할 예정이니 자료를 준비해달라는 연락을 받았지만 오늘 오후 다시 취소한다는 연락이 왔다”며 “다른 그룹도 같은 상황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만 이 그룹 관계자는 통보로 전달된 e메일에는 취소 이유가 구체적으로 적혀 있지 않았다고 귀띔했다. 오는 4일 콘퍼런스콜을 예정했던 삼성도 취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6개 기업 중 일부는 일정이 잡혀 있었으나 취소를 통보받았고, 나머지 일부는 아직 일정조차 잡지 못한 상황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재계 일각에서는 미국 정부가 대북사업과 관련해 우리 그룹들을 직접 접촉하려는 움직임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부담을 느껴 계획한 일정을 취소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았다. B그룹의 한 관계자는 “한국 언론에서 관련 보도가 이어지자 마치 미국 정부가 한국 기업들에 압박을 가해 (경협을) 못 하게 하는 것처럼 비쳐질까 부담스러웠던 것 같다”고 전했다. 또 이 관계자는 “미국 측이 청와대의 의도적인 정보 흘리기로 (관련 정보가) 새어나가고 있다”며 불쾌한 반응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 재무부는 올 9월 국내 시중은행 7곳에 전화해 “북한과의 금융협력 재개는 미국의 정책과 불일치한다”며 대북제재 준수를 강력히 요구했다.
이처럼 미국 정부가 국내 민간 은행이나 기업에 대북정책과 관련해 직접 연락을 취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사례다. /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