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학술정보원이 최도일 서울대 교수 등 6명을 ‘제63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대한민국학술원상은 대한민국학술원이 세계 정상 수준의 연구업적을 이룬 국내 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지난 1955년부터 현재까지 총 252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올해 수상자는 인문학 1명, 사회과학 1명, 자연과학기초 2명, 자연과학응용 2명 등 총 6명이다. 자연과학응용 부문 수상자인 안종현 연세대 교수는 나노소재 석학으로 플렉시블 그래핀 터치 패널, 단결정 실리콘 박막 기술을 개발했다. 최도일 교수는 가지과 작물의 표준 유전체 정보를 구축하고 고추 유전체 염기서열을 완성하는 등 유전체 기반 육종기술 개발의 기틀을 마련했다. 금종해 고등과학원 교수(자연과학기초 부문)는 대수기하학 분야의 석학으로 20년 묵은 난제인 ‘K3 곡면의 사고 유한대칭군의 분류 문제’를 해결했다. 이상열 경상대 교수는 식물체의 환경 스트레스 면역 연구에 매진해 페록시레독신 효소의 기능을 규명, 유용 작물의 생산성 증진에 기여했다.
인문학 부문 수상자인 이민행 연세대 교수는 독어학에 최신 연구기법을 도입해 언어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사회과학 부문 수상자인 김병연 서울대 교수는 북한 경제를 객관적·실증적으로 분석해 북한 경제의 실상을 국내외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학술원은 17일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시상식을 연다. 수상자들에게는 상장과 메달, 부상으로 상금 5,000만원을 지급한다.
/진동영기자 ji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