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문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는 지난주보다 4%포인트 상승한 42%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의견 유보는 9%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부정 평가의 가장 큰 이유로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41%)을 꼽았다. 대북관계·친북성향(8%)과 최저임금 인상(7%), 부동산 정책(6%), 일자리 문제·고용 부족(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각종 경제지표 악화 등으로 먹고 사는 문제가 부각된 상황에서도 주요 경제정책을 둘러싼 청와대와 정부, 여당의 엇박자가 반복되면서 지지층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지율 급락에는 경제정책에 대한 실망감이 크게 작용했다. 가파른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으로 자영업자들의 한숨이 깊어지면서 지지세력에서 이탈하고 있고 집값 급등으로 전통적인 지지층도 서서히 등을 돌리고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인도네시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반도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정착과 관련해 “올해 말까지 되돌아갈 수 없을 만큼 진도를 내는 것이 목표”라며 “한반도 문제 당사자로서 남북관계 발전은 물론 북미관계 개선과 비핵화 촉진에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현상·이태규기자 kim0123@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