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030200)가 정치권으로부터의 외풍을 막기 위한 지배구조 개편안을 의결했다. 다만 KT 노조의 반발이 큰 데다 불법 후원금 관련 경찰 수사 등으로 잡음이 계속될 전망이다. .
KT는 23일 서울 태봉로 KT연구개발센터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재무제표 승인, 정관 일부 변경, 이사 선임, 감사위원 선임 등의 안건을 의결했다. 이번에 의결된 안건 중 핵심은 지배구조 개편이다. 이번 지배구조 개편으로 회장 후보 추천 권한이 기존 CEO추천위원회에서 이사회로 이관됐으며 회장 후보 요건에 ‘기업경영경험’이 추가됐다. 황창규(사진) KT 회장은 “이번 지배구조 변경안은 독립성과 투명성 제고라는 두 가지 목적을 위해 이사회 권한을 강화하고 사내이사 선임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며 “그동안 지배구조 선진화를 위해 구조개선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었으며 지난 1년 간 지배구조위원회가 중심이 돼 국내외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전문가 컨설팅과 주주 간담회 등을 통해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고 밝혔다. KT는 이번 지배구조 개편안과 관련한 잡음을 차단하기 위해 세계 최대 의결권 전문기관인 ISS에 검토를 요청하는 등 공을 들였다.
또 신임 사외이사로 이강철 전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비서관과 김대유 전 청와대 경제정책수석을 선임했다. 이들 모두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출신으로 ‘황창규 흔들기’를 막을 버팀목이 될 전망이다. KT는 또 스마트에너지와 미디어 등 신사업 확대를 위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과 전문디자인업을 목적사업에 추가했다.
다만 이날 주총에서는 KT 지배구조 개편안이 황 회장의 ‘독재경영’을 위한 조치라며 KT 새노조와 일부 소액주주들이 현수막을 걸고 소란을 벌였다.
/양철민기자 chopi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