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통사고를 당한 두 살배기 아이가 수술할 병원을 구하지 못해 7시간을 허비하다 숨진 사건에 연루된 전북대 병원도 논란 중이다.
전북대 병원은 국가 지원을 받으면서도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제구실을 못 했다는 비판을 받으며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정 취소 움직임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일각에서는 응급의료시스템을 손보는 계기로 삼아야지 지정 취소 운운은 상황을 더 악화시킬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 중이다.
이에 관련해 보건복지부는 지난 11일 전북대 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을지대, 전남대 권역외상센터 취소를 검토했으며 오는 20일 중앙응급의료위원회를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한다고 밝혔다.
지난 30일 전주시 덕진구 반월동에서 교통사고를 당한 김모(2) 군은 전북대 병원 응급실로 이송됐지만 응급수술실이 가득 차 수술이 어려웠고, 김 군을 옮길 다른 병원을 찾는 과정에서 13곳으로부터 사실상 거부당하면서 김 군은 다음 날 수술 중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현지조사와 전북대 병원 관계자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과정에서 전북대 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가 비상진료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못한 점과 수술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음에도 이뤄지지 않은 부분, 또한 환자를 옮기는 전원조치를 하면서 시스템상의 문제점 등이 불거진 것으로 전해진다.
병원의 적절치 못한 대응 속에 시간이 흐르면서 응급환자인 김 군의 상태를 악화시켜 죽음에 이르렀다는 점에서 비판이 커지고 있다.
(사진=전북대학교병원 제공)
/박재영기자 pjy0028@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