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대표가 강조한 것은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다. 그는 “전기차 충전기는 운전자가 쉽게 찾고 이용할 수 있는 곳에 있어야 하는데 현재 그런 시스템이 전혀 구축돼 있지 않다”며 “충전기를 많이 설치하는 것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집보다 직장에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인센티브를 제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미국과 일본은 전기차 소유주가 원하는 곳에 충전기를 설치하면 설치비용의 절반을 지원한다”며 “우리는 정책이 사람의 행동패턴을 바꾸려고 해서 거부감이 생기는 것”이라고 수요자 맞춤형 정책지원을 해야 전기차 수요를 높일 수 있다고 제언했다.
전기차 산업 육성정책을 펼치고 있는 산업통상자원부의 고위 공직자도 정 대표의 지적에 공감했다. 채희봉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전기차는 부족한 충전 인프라와 짧은 주행거리가 고질적인 문제”라며 “최근 전기차를 체험하기 위해 서울 남산 근처를 직접 운전했지만 충전기가 설치된 장소를 찾기 어려웠다”며 소비자 관점에서 편리성을 높이는 제도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지영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주유는 이동 중에, 충전은 차가 세워져 있는 동안 하는 것”이라며 “충전 인프라를 설계하려면 에너지와 교통 네트워크 등 모든 부분을 융합해 장기적인 로드맵을 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차장 한쪽 구석에 설치된 충전기는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떨어뜨린다”며 “충전기를 찾아주는 앱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