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이 6일(현지시간) 공개한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록에 따르면 FOMC 위원들은 “목표금리(기준금리)를 처음 올린 뒤에도 (통화)정책의 입장은 (시장) 순응적이어야 한다”며 “(통화정책이) 특정한 (금리인상) 경로에 따를 것이라는 인상을 주지 말아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당시 회의에서 FOMC는 0∼0.25%였던 기준금리를 0.25∼0.5%로 높이기로 결정했다.
회의록에 따르면 FOMC 위원들은 “순응적인 정책으로부터의 탈피가 점진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여러가지 이유”를 인식했다. 물가상승률이 일러야 내년 말에 목표치인 2%에 도달할 것으로 보이는 데다, 단기 실질금리가 앞으로 수 년간 천천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 등이 대표적인 이유다. FOMC 위원들은 “개인과 기업의 소비지출이 견조함”을 확인했지만, 일부 위원들은 금리인상의 근거가 될 물가상승 전망이 “상당한 위험”을 안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두 명의 위원들은 “(미국의) 노동시장이 개선되더라도 국제적인 물가하락 압력을 상쇄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회의록은 FOMC 위원들이 앞으로 “연방기금금리를 점진적으로만 올릴 수 있는 경제 여건”을 예상했으며, “위원회(FOMC)가 실제 물가상승 추이를 예의 주시하겠다”는데 의견을 모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현재 금융시장에서는 연준이 올 한해동안 기준금리를 1%포인트 가량 추가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신경립기자 klsin@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