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이 두 달째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12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3,679억6,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44억달러 증가했다. 월 단위로는 지난해 11월 11억4,000만 달러 줄어든 데 이어 12월에도 5억달러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일부 기타 통화표시 자산을 미국 달러화로 환산한 금액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9월부터 2개월간 증가했다가 11∼12월 연속으로 감소하고 있다.
자산유형별로 보면 유가증권이 3,452억4,000만달러로 한 달 새 87억7,000만달러 늘었다. 반면 예치금은 132억7,000만달러로 91억2,000만달러 감소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는 32억4,000만달러로 1억5,000만달러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 포지션(14억1,000만달러)과 금 보유액(47억9,000만달러)은 전월과 같았다.
지난해 11월 말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세계 6위로 10월 말의 7위에서 러시아를 제치고 한 계단 상승했다. 중국이 3조4,383억달러로 1위를 지켰고 그 뒤를 일본(1조2,330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6,355억달러), 스위스(5,883억달러), 대만(4,246억달러) 등이 이었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co.kr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12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3,679억6,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44억달러 증가했다. 월 단위로는 지난해 11월 11억4,000만 달러 줄어든 데 이어 12월에도 5억달러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일부 기타 통화표시 자산을 미국 달러화로 환산한 금액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9월부터 2개월간 증가했다가 11∼12월 연속으로 감소하고 있다.
자산유형별로 보면 유가증권이 3,452억4,000만달러로 한 달 새 87억7,000만달러 늘었다. 반면 예치금은 132억7,000만달러로 91억2,000만달러 감소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는 32억4,000만달러로 1억5,000만달러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 포지션(14억1,000만달러)과 금 보유액(47억9,000만달러)은 전월과 같았다.
지난해 11월 말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세계 6위로 10월 말의 7위에서 러시아를 제치고 한 계단 상승했다. 중국이 3조4,383억달러로 1위를 지켰고 그 뒤를 일본(1조2,330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6,355억달러), 스위스(5,883억달러), 대만(4,246억달러) 등이 이었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