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생산과 소비부진으로 우유가 남아돌고 있지만, 원유가격연동제 때문에 가격을 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낙농진흥회 집계에 따르면 유가공업체가 쓰고 남은 원유를 보관 목적으로 말린 분유 재고를 원유로 환산한 양은 지난 9월 기준 26만2,659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늘었습니다.
지난 2013년 정부의 원유 생산량 증대 정책이 시행된 이후로 우유 재고는 급격히 증가했고, 이 기간 사료 값도 내리면서 원유 생산이 늘어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게다가 불황 등으로 우유 소비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우유 재고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매년 원유가격을 정하는 원유가격연동제 때문에 우유가 남아돌아도 가격을 내릴 수 없는 실정입니다. 업계에서는 “수요·공급 원리를 무시하고 제도에 따라 원유가격을 책정할 수 없다”며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