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하락(원화가치 상승) 때문에 국내 수출기업이 대금으로 받은 달러화를 원화로 환전하는 것을 미루면서 외화예금이 6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현재 외국환은행의 거주자외화예금은 634억달러로 전달보다 42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거주자외화예금은 내국인과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이나 국내 진출 외국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을 말한다.
거주자외화예금은 환율 상승과 위안화 예금 감소 등을 이유로 5월(전월 대비 -32억9,000만달러) 이후 내리 감소세를 보여왔다. 특히 위안화 예금의 경우 4월 198억2,000만달러로 고점을 찍은 후 꾸준히 감소해 지난달 말 기준으로 71억9,000만달러까지 줄었다. 내외금리 차가 줄어들면서 중국 금융권이 해외 단기차입금을 줄인 게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10월 들어 환율이 크게 하락하면서 상황은 반전했다. 10월 말 기준 원·달러 환율은 1,142원30전으로 9월 말(1,194원50전)과 비교해 4.4% 떨어졌다. 통상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수출기업의 경우 달러화로 받은 무역결제대금을 원화로 바꾸는 것을 미루게 된다. 환율이 떨어지면 그만큼 원화로 환산한 매출금액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렇게 수출입 기업의 결제성 대금 예치규모가 늘어나면서 미 달러화 예금이 494억5,000만달러로 전달 대비 59억8,000만달러 증가했다. 월별 증가폭으로는 사상 최대치다.
주체별 외화예금 현황에서는 이 같은 상황이 더욱 잘 나타난다. 기업예금은 561억4,000만달러로 전달과 비교해 35억5,000만달러 늘었다. 특히 비금융 일반기업의 예금은 54억달러 증가했다. 개인예금은 72억6,000만달러로 같은 기간 6억6,000만달러 늘어나는 데 그쳤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co.kr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현재 외국환은행의 거주자외화예금은 634억달러로 전달보다 42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거주자외화예금은 내국인과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이나 국내 진출 외국기업 등의 국내 외화예금을 말한다.
거주자외화예금은 환율 상승과 위안화 예금 감소 등을 이유로 5월(전월 대비 -32억9,000만달러) 이후 내리 감소세를 보여왔다. 특히 위안화 예금의 경우 4월 198억2,000만달러로 고점을 찍은 후 꾸준히 감소해 지난달 말 기준으로 71억9,000만달러까지 줄었다. 내외금리 차가 줄어들면서 중국 금융권이 해외 단기차입금을 줄인 게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10월 들어 환율이 크게 하락하면서 상황은 반전했다. 10월 말 기준 원·달러 환율은 1,142원30전으로 9월 말(1,194원50전)과 비교해 4.4% 떨어졌다. 통상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수출기업의 경우 달러화로 받은 무역결제대금을 원화로 바꾸는 것을 미루게 된다. 환율이 떨어지면 그만큼 원화로 환산한 매출금액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렇게 수출입 기업의 결제성 대금 예치규모가 늘어나면서 미 달러화 예금이 494억5,000만달러로 전달 대비 59억8,000만달러 증가했다. 월별 증가폭으로는 사상 최대치다.
주체별 외화예금 현황에서는 이 같은 상황이 더욱 잘 나타난다. 기업예금은 561억4,000만달러로 전달과 비교해 35억5,000만달러 늘었다. 특히 비금융 일반기업의 예금은 54억달러 증가했다. 개인예금은 72억6,000만달러로 같은 기간 6억6,000만달러 늘어나는 데 그쳤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