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재섭 신임 대표체제가 11일 등장하면서 한나라당 대권 경쟁에서 박근혜 전 대표가 유리해졌다. 반면 대권 경쟁이 혼탁해질 가능성이 엿보였고 지역적인 한계도 극복 과제로 떠올랐다. ◇‘박근혜의 힘’=말 그대로 강재섭 후보의 ‘대역전극’이었다. 그 뒤에는 박근혜 전 대표가 있었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이재오 후보의 ‘대세론’이 경선 분위기를 압도했다. 하지만 지난 6일께 박 전 대표의 측근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유승민 의원이 박 전 대표를 면담, 이명박 전 서울시장 쪽이 경선에 개입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박 전 대표는 격앙된 채 “그래서야 공정 경선이 되겠느냐. 한나라당의 정체성이 흔들릴까봐 걱정”이라고 말했고 박 전 대표 측은 강 대표 지원을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7~8일 박 전 대표 측근들이 강 후보 지원활동을 집중하자 강재섭-이재오 양 후보의 지지율 차이가 오차 범위 내로 들어왔다. 결국 박 전 대표의 ‘격앙’이 보도된 10일 강재섭-이재오 후보의 지지율이 뒤집어졌다. 지방선거 후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박 전 대표의 당내 장악력이 확인된 순간이었다. ◇대권 레이스에 영향=박 전 대표가 유리해졌다. 강 대표 외에도 경선 과정상 강창희-전여옥 최고위원이 ‘친박’으로 분류되고 이재오-정형근 최고위원이 이 전 시장과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틀 후인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 인사인 김형오ㆍ김무성 의원이 대결할 예정인 점을 감안하면 최고위원 9명 중 당 대표를 포함해 대표 임명 몫 2인 등 최대 7명까지 박 전 대표 측과 가까운 인사로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공천을 좌지우지하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회의의 위상을 감안하면 지도부 장악은 대권 경선 선거인단 표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경선 개입설이 나돌았던 이 전 시장은 입지가 축소됐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도 이번 경선에서 이렇다 할 영향력을 보여주거나 구축하지 못했다. 소장중도파의 단일 후보인 권영세 의원은 예상 밖의 저조한 득표율로 지도부 진입에 실패해 이들의 ‘대권 역할론’에 일부 제동이 걸리는 모양새다. ◇영남 이미지 등 과제=한편 전당대회 과정에서 양대 대권주자들이 세 대결에 나서고 전대후보들이 인신공격성 발언을 하는 등 대선 정국에서 주자간, 또 지도부간 불협화음을 예고했다. 더구나 한나라당은 양대 주자들이 영남 출신인데다 TK(대구ㆍ경북)기반 중진 대표를 맞이해 내년 대선에서 ‘영남보수당’ 이미지를 불식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았다. 강재섭은 누구인가- 대구·경북 대표적 차세대 주자
내년 대선에서 한나라당의 당권을 책임지고 정권재창출에 나서야 하는 강재섭 신임대표는 이미 40대에 "국회의원은 3번으로 족하다"며 대권의지를 키워온 대구ㆍ경북(TK) 지역의 대표적인 차세대 주자다. 검사 출신으로 지난 13대 국회에서 전국구로 정계에 입문한 뒤 대구에서만 내리 4번 당선돼 김덕룡. 박희태, 이상득 의원과 함께 당내 최다선(5선) 반열에 올랐다. 민자당 대변인과 총재 비서실장, 신한국당 원내총무와 이회창 대통령후보 정치특보 등을 거쳐 한나라당 부총재와 원내대표를 지내는 등 대표를 빼고는 거의 모든 주요당직을 섭렵했다. 2004년 '탄핵 역풍' 당시 TK 의원모임을 주도하면서 최병렬 대표의 사퇴 결심을 이끌어냈고 수도권 소장파들을 설득해 '박근혜 유일대안론'을 확신시키는 등 '박근혜 체제'의 등장에 기여했다. 그러나 지난해 3월 원내대표로 선출돼 당의 중심으로 부상했으나 열린우리당의 사학법강행 처리를 막지 못한데 대한 책임을 지고 9개월여만에 물러났다. TK의원들의 좌장격이기는 하지만 수도권 등 타지역에서는 지지기반이 약하고 대중적 인지도도 낮다는 평을 받았으나 이번 대표경선 승리를 기반으로 취약점을 보완할 절호의 기회를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부인 민병란(55)씨와 1남1녀. ▦경북 의성(57)▦서울 법대 ▦청와대 정무ㆍ법무비서관 ▦민자당 기조실장 ▦신 한국당 대변인, 총재비서실장, 원내총무 ▦국회 법사,정치개혁특위원장 ▦한나라당부 총재.최고위원.원내대표 ▦13,14,15,16,17대 의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