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은 2년여의 연구 끝에 독립형 LNG선 화물창 개발을 완료하고 일본선급(NK)으로부터 설계에 대한 기본승인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LNG선 핵심기술인 화물창의 기술 자립으로 그 동안 원천기술을 보유한 외국 회사들에게 1척당 1,000만달러 정도 지불하던 로열티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됐다.
현대중공업의 독립형 LNG 화물창은 기존 화물창을 감싸는데 사용되던 평판형 대신 엠보싱 모양의 환형판 자재를 사용, 자재의 수와 중량을 대폭 줄였다. 또 보냉시스템은 기존 패널을 일일이 부착했던 것에서 스프레이를 뿌려 코팅하는 방식으로 변경해 공정을 단순화시켰다.
LNG선 화물창은 형태에 따라 선체와 일체형인 ‘멤브레인형’과 선체와는 별도의 화물창을 가진 ‘독립형’으로 구분된다. 독립형은 외부에서 화물창을 제작해 탑재하기 때문에 선체 제작 후 추가적으로 화물창 공사가 이뤄지는 멤브레인형보다 제작시간과 비용이 적게 든다. 또 탱크 내부의 칸막이를 설치해 출렁임 현상을 줄여 LNG의 기화현상을 막고 화물창 내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현대중공업은 이번에 개발한 독립형 LNG 화물창을 ‘로브-번들 탱크’로 명명하고 최종 테스트를 거친 후 내년께 상용화할 계획이다. 향후 LNG선, LNG-FPSO(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ㆍ저장ㆍ하역설비), 액화석유가스(LPG)선, LNG 연료 공급선은 물론 LNG 연료 추진시스템의 대용량 연료탱크로도 사용될 전망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이번 LNG 화물창 개발 성공으로 로열티 부담에서 벗어나 기술 자립을 이루게 됐다”며 “또한 친환경 에너지 선박에 대한 수주경쟁력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