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중ㆍ후반기 지방선거 여당 첫 승리?' 대통령의 집권 3~5년차에 치러졌던 1ㆍ3ㆍ4회 선거에서 여당이 참패한 것과 달리 이번 6ㆍ2 지방선거에서는 심판론보다 안정론이 득세하며 반대의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하지만 '북풍 드라이브'에 의한 역풍 가능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나라당이 최근 2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울과 경기도는 각각 10%포인트가량 우세했고 인천과 강원ㆍ충북은 한자릿수 앞섰다. 반면 경남은 초접전 양상을 보였고 대전과 충남은 한자릿수 열세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ㆍ대구ㆍ울산ㆍ경북까지 합쳐 8~9곳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게 한나라당의 분석이다. 집권 중ㆍ후반부에 치러진 지난 1995년(김영삼 정부 3년째), 2002년(김대중 정부 5년째), 2006년(노무현 정부 4년째) 선거에서 여당이 견제론의 덫에 걸려 참패했던 것과는 반대 양상이다. 하지만 민주당은 서울ㆍ경기는 밀린다고 인정하면서도 여당이 앞선다는 인천과 충북은 각각 초박빙과 우세로 분류하고 강원도 가파른 상승세로 역전이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자유선진당과의 불꽃 튀는 경합이 벌어지는 충남도 승리할 것으로 내다봤다. 여당의 한 핵심관계자도 "경남 (상황이) 안 좋고, 충북도 쉽지 않고, 인천도 안심할 수 없고, 강원도 경계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여당이 앞서는 것과 관련, 정치권은 대통령과 여당 지지율이 높은 요인도 있겠지만 정권 심판론에 동의하던 중간층이 천안함 사건으로 여당 지지로 돌아섰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북풍 드라이브'가 지속되면 경제가 흔들리고 국지전 위험이 높아지게 돼 여당으로서도 역풍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노풍 죽이기로 야당의 아킬레스건이 된 북풍이 여당에도 마찬가지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여당은 과잉대응을 자제하고 완급을 조절하기로 했다.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은 "20~40대는 북한을 주적으로 삼는 데 거부감을 느끼는데 군이 과잉대응을 했다"며 "천안함 문제에 대해 강경발언은 안 된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은 심판론 기조하에서 북풍이 주가 하락과 환율 상승 등 경제를 흔들고 있다는 논리를 어필한다는 전략이다. 김민석 민주당 선거대책본부장은 "정부의 잘못을 떠나 지탱해줘야 한다는 층들이 합리적으로 판단할 여지가 있어 수도권과 중부권에서 두 곳 이상 당선을 목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권영세 한나라당 시당위원장은 "부동층이 경기ㆍ인천은 20~30%, 서울은 10%대 남짓으로 파악된다"며 부동층을 당락을 가를 변수로 꼽았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