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합리한 '갑을관계'의 대표 사례로 낙인 찍힌 이번 사태로 인해 그간 억눌려있던 '을'의 분노가 곳곳에서 터져나왔다. 정치권에서도 경제민주화 입법의 일환으로 갑의 횡포를 방지하자는 취지의 '남양유업 특별법'이 논의되고 있다.
남양유업 사태는 산업계 전반에 관행으로 여겨져왔던 우월적 지위를 남용한 불공정행위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만하다.
그러나 남양유업이 잘못에 비해 너무 과도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는 목소리도 없지 않다. 불매운동의 영향으로 대형마트 등 유통채널에서 남양유업 제품 매출이 급감하고 있고 대리점주들은 이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일부 전직 대리점주들과 본사의 갈등이 1,000여개에 달하는 현직 대리점주들의 피해로 이어지면서 자칫 '갑에 대한 단죄'만이 아닌 갑을 모두 불이익을 받게 되는 상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번 남양유업 사태에 편승한 과도한 규제가 기업 경영 활동 전체, 나아가 기업의 명운에 어떤 악영향을 미칠지 이성적으로 판단해봐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세는 기울어진 느낌이다. 기업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비윤리적이고 비상식적인 영업 관행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과거 경제구조가 취약할 때는 좋은 제품을 만들고 돈을 많이 버는 기업만으로 미덕이었지만 이제는 기업의 경영철학과 사회적 책임이 기업 이미지나 평판과 직결되는 시대가 됐다. 특히나 스마트폰ㆍ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이 발달하면서 기업의 부정적인 이미지 확산 속도는 예단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지고 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도 '신경영 20주년' 임직원 메시지에서 "기업에 대한 사회적 책임은 더 무거워졌다"고 지적했다. 남양유업 사태는 무한 경쟁 속에서 기업이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미래전략의 방향타가 아닐까.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