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 C&C는 모바일 및 에너지관련 솔루션 시장을 발빠르게 개척해 나가고 있다.
SK C&C는 이들 분야가 그동안 축적한 시스템구축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시킨다면 향후 기업을 먹여 살릴 새로운 캐시카우(현금창출원)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모바일 결제(M커머스) 분야의 성장 속도는 돋보인다.
SK C&C는 지난 8월 미국 던킨도넛에 모바일 지갑 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시작했다. 현지 소비자들은 모바일 지갑 앱을 휴대폰으로 내려받으면 북미 6,000여곳의 던킨 지점에서 간단한 바코드스캔으로만 결제를 마칠 수 있게 됐다. SK C&C는 이미 지난해 6월 미 퍼스트데이터(FDC)와 손잡고 구글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구글 지갑(Google Wallet)'상용화에 필요한 핵심기술인 TSM(신뢰기반서비스관리) 솔루션을 공급했었다.
지난 10월에는 세계 15개국에 진출한 이동통신사인 보다폰으로부터 유럽지역 모바일 지갑 시스템구축 사업을 따냈다.
이 같은 여세를 몰아 SK C&C는 올 연말에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글로벌 통신기업등 2~3곳에 결제 서비스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SK C&C는 모바일 결제시장에서 북미와 유럽에 이어 아시아 지역으로 이어지는 글로벌 영업 네트워크를 연결하게 됐다. 북미를 비롯해 유럽, 아시아로 영토를 확장하면서 시장공략에 쓰일 무기는 지불결제 및 마케팅을 포괄하는 종합 M커머스 솔루션인 '코어파이어'다.
모바일 분야에서는 커머스(결제) 못지않게 기업 영업지원 시스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SK C&C는 이달초 홍콩씨티은행, 상하이씨티은행의 방카슈랑스 모바일 영업지원시스템(MOS)구축사업을 동시에 따냈다. 시스템구축에는 SKC&C의 통합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인 '넥스코어모바일'이 투입된다. 넥스코어 모바일은 한번의 애플리케이션 개발로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실제로 국내에 구축한 메트라이프생명 MOS가 메트라이프생명 아태지역본부로부터 우수성을 인정받아 메트라이프생명 중국에도 적용됐다.
그룹의 주력인 에너지분야도 IT솔루션을 융합해 새로운 시장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미래 친환경 에너지의 대표 주자로 각광받고 있는 전기차의 핵심 시스템인 BMS(배터리관리시스템)다. BMS는 전기차 및 스마트 그리드(지능형 전력망)의 핵심 공통기술로 2차전지의 안정성을 높이고 배터리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내장(임베디드) 시스템이다.
SK C&C는 현재 SK이노베이션과 공동으로 집·빌딩 및 신재생 발전용 에너지 저장장치 분야의 BMS와 EV(전기차)용 BMS 등을 개발하고 있다.
EMS(에너지관리시스템)는 관련시장이 커지고 있다. 에너지관리시스템은 기업에 실질적으로 에너지 독립성 및 탄소배출 제로화 구현을 지원한다.
SK C&C는 지난해 제주도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사업과 관련된 신재생 에너지 발전 분야 및 에너지 저장장치용 에너지 관리시스템을 개발해 검증을 완료했다.
또 지난 7월 강릉시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스마트 인프라 구축 사업을 수주하며 EMS 분야의 강자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SK C&C는 강릉시에 자체 개발한 임베디드시스템을 적용해 주차장, 컨벤션센터 옥상등에 약140kW 규모의 태양광 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구축한다. 100kW급 친환경 리튬이온 에너지 저장 장치를 설치해 낮에 생산된 여분의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저장한후 야간에 활용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