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는 오는 20일이 만기인 ECB 대출 32억유로를 상환하기 위해 ECB에 브리지론 발행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으며 해당 채권의 만기를 1개월 연장해달라는 제안 역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FT는 전했다.
이에 따라 그리스 정부는 ECB와 국제통화기금(IMF)ㆍ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등 트로이카로부터 구제금융 조건이행 실사를 받은 데 이어 채권상환이라는 새로운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일단 그리스는 자국 내 은행들을 대상으로 6개월짜리 단기국채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7일 6억2,500만유로 규모의 6개월 만기 국채입찰을 실시하며 14일에도 국채입찰을 실시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 은행들도 여유자금이 없는 만큼 중앙은행에서 돈을 빌려 국채입찰에 참여해야 할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주 ECB는 그리스 은행들이 국채입찰에 참여할 때 보유한 단기국채를 담보로 그리스 중앙은행으로부터 긴급유동성지원(ELA)을 받을 수 있는 한도를 35억유로에서 70억유로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그리스가 1,740억유로 규모의 2차 구제금융을 받는 조건으로 은행권이 보유한 단기국채를 감축하기로 한 점을 감안하면 극히 이례적이다.
그러나 그리스 정부가 국채발행에 성공하더라도 만기가 돌아오는 ECB 채권을 전액 상환하기는 역부족인 만큼 일종의 공적자금인 금융안정기금(HFSF)에서 30억유로를 조달하는 방안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트로이카는 그리스의 긴축안 이행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지난 6월로 예정됐던 312억유로의 구제금융 지급을 9월 이후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이 때문에 가뜩이나 재정난에 시달리는 그리스는 현금이 바닥나 조만간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크리스토스 스타이코라스 재무부 차관도 지난달 말 "국고의 현금 보유분이 거의 바닥을 드러낸 상태"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