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전망지수란 주택 수요자들이 현재 살고 있는 집의 6개월 뒤 가격 전망을 설명하는 지수다. 100 미만이면 향후 집값 하락 전망이 우세하다는 뜻이다.
3ㆍ4분기 주택가격전망지수는 2007년 처음 조사가 시작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로 리먼브라더스 사태 직후인 2008년 4ㆍ4분기(98.3)보다도 5포인트 이상 낮다. 국내외 경기가 동반 악화한 데다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조기 회복 가능성이 낮아 집값 전망이 갈수록 나빠진 것이라고 부동산114는 분석했다.
현재 거주지의 가치 수준을 평가하는 가격평가지수도 올해 3ㆍ4분기 77을 기록해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4ㆍ4분기(74.4) 이후 가장 낮았다.
이처럼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낮아진 탓에 당분간 집을 구입할 계획이 있다는 수도권 거주자는 절반에 불과했다. 앞으로 6개월 동안 집을 살 계획이 없다는 응답자는 54.4%로 2ㆍ4분기(46.6%)에서 7.8%포인트 늘었고, 신규 분양을 받겠다는 응답자도 2ㆍ4분기(39.9%)에서 3ㆍ4분기 54.9%로 급증했다. 6개월 안에 집을 사겠다는 응답자는 14.0%에 그쳤다.
향후 이사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수도권 거주자 중 47.1%가 전셋집을 선호해 매매시장보다는 전세시장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관측된다.
주택 구매자와 매도자 사이의 희망 가격 차이가 커 당분간 거래시장이 살아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6개월 이내에 주택 구입 의사가 있다고 밝힌 응답자의 34.6%는 ‘주변 시세보다 20% 저렴하면 매수하겠다’고 응답한 반면, 매도 의사가 있다는 응답자의 46.7%는 ‘시세보다 10% 저렴한 금액이면 팔겠다’고 답해 10%포인트의 인식차를 보였다.
주택 구입 목적에 대해서는 응답자 92.3%가 ‘실거주’ 목적이라고 답했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