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상범(사진) LG디스플레이 사장이 중국시장 공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중국 내 현지업체들을 적극 발굴해 새로운 판로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한 사장은 지난 22일 LG디스플레이 파주공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저가와 고가시장이 공존하고 있다"며 "앞선 경쟁력을 토대로 어떤 시장도 놓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1주일간 중국시장을 점검하고 돌아온 한 사장은 현지시장 공략의 해법을 제시했다. 그는 "우리의 스마트폰 전략은 기존 고객사들이 잘 되게 하는 것과 새로운 고객을 잡는 것"이라며 "새로운 고객은 역시 중국 고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사장은 "중국은 기존 글로벌업체들의 제품만으로는 안 될 것 같다"며 "중국에 있는 세컨드 티어(2위권 업체)들을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스마트폰 하면 100만원대를 생각하지만 중국에서는 6만∼7만원짜리 저가 스마트폰들도 나오고 있다"며 "이 시장을 공략해서 돈을 벌겠다는 생각은 아니지만 숨어 있는 플레이어들을 찾아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나친 출혈경쟁은 지양하겠지만 저가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키워 수요에 대응하겠다는 의미다.
아울러 한 사장은 "최근 중국에서도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고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데 우리가 그걸 놓친 측면이 있다"며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 전략도 함께 구사하겠다고 밝혔다.
한 사장은 다가올 미래를 위해서는 중장기적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의사도 내비쳤다. 그는 "앞으로는 액정표시장치(LCD)보다 OLED에 집중 투자할 것"이라며 "다만 풀HD에서 UHD로 발전하는 것은 해상도가 바뀌는 것이지만 OLED는 세대가 바뀌는 만큼 대중화되기까진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면서 무엇보다 가격경쟁력을 갖추는 일이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한 사장은 올 하반기 전망에 대해선 다소 비관적인 견해를 내놨다. 그는 "글로벌시장 상황이 생각한 것만큼 장밋빛은 아닌 것 같다"며 "3ㆍ4분기와 4ㆍ4분기(실적은) 우리 생각보다 못할 것 같다"고 내다봤다.
대만업체들에 비해 UHD 시장 진출이 늦었다는 지적에 대해 그는 "대만업체들이 내놓은 제품의 품질을 보면 진정한 UHD라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저급하기 때문에 우리는 아직 늦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준비를 잘해서 전세계 UHD 시장을 선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