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개혁을 얘기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낙하산 인사 근절이다. 하지만 정부는 유독 낙하산 인사에 대해서만큼은 침묵한다. 이번 대책에서도 마찬가지다. '낙하산 문제가 빠져 있다'는 기자들의 지적에 이번 대책을 총괄한 김상규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기관장 문책 등 인사에 대한 내용도 포함돼 있다"며 답변을 피했다. '공공기관 파티는 끝났다'며 강도 높은 개혁 의지를 보인 현 부총리도 낙하산 문제에 대해서만큼은 침묵으로 일관해왔다. 청와대의 권한인 인사 문제를 건드리기 부담스러운 것이다.
이번 정상화 대책이 근본처방은 외면한 반쪽짜리 대책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정부가 단호하게 메스를 대겠다고 강조한 공공기관 방만경영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낙하산이기 때문이다. 공공기관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전문성이 전혀 없는 낙하산을 기관장으로 내려보내면 노조는 기다렸다는 듯이 출근길을 막고 '딜'을 요구한다"며 "그 과정에서 복지혜택을 늘리는 이른바 '이면계약'이 성사된다"고 말했다. 정부의 낙하산 인사와 이를 빌미로 삼은 노조 간의 짜고 친 고스톱의 결과물이 바로 방만경영이라는 얘기다. 낙하산이 내려오면 감독책임을 진 주무부처의 통제가 어려워진다는 점도 문제다. 이른바 '개국공신 낙하산'이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 관가에서는 이런 낙하산을 '장관급 기관장'이라고 부른다.
장관도 함부로 대할 수 없는 산하기관장이라는 뜻에서다. 특히 박근혜 정부 들어 장관급 기관장이 임명된 경우가 적지 않다. 최근 임명된 김학송 한국도로공사 사장, 이상무 농어촌공사 사장, 현명관 마사회장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