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이 꼬리서열분석법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염기서열 분석법을 개발해 전령RNA의 뒤쪽 끝 부분에 존재하는 염기의 종류와 길이를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전령RNA란 DNA에 보관돼 있는 유전 정보를 단백질로 전달하는 매개체다. 이 전령RNA가 어떻게 변형되는지에 따라 세포의 운명이 바뀔 수 있어 전령RNA에 발생하는 변형의 종류와 길이를 밝히는 것은 학계의 숙제였다. 하지만 기존의 서열분석장치로는 전령RNA의 뒤쪽 꼬리에 존재하는 염기서열인 긴 아데닌 꼬리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졌다.
연구단은 DNA 서열을 대량으로 분석할 수 있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방법을 활용해 아데닌 꼬리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 전령RNA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인 꼬리서열분석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아데닌 꼬리를 마치 책을 읽듯이 문자로 해독해 분석하는 기술이다.
미래부의 한 관계자는 "연구단이 개발한 꼬리서열분석법을 다양한 세포나 조직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연구방법으로는 알 수 없었던 생명 현상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배아 발생과 암, 신경전달 등 모든 생명 현상에 RNA와 단백질의 생산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만큼 다양한 질병의 원인을 찾는 데도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20일 셀(Cell)의 자매지인 몰리큘러셀(Molecular Cell)의 표지논문으로 게재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