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허창수 회장은 15일 롯데호텔에서 물라투 테시호메 위르투 에티오피아 대통령을 초청해 한-에티오피아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하고, 우리 기업의 에티오피아 진출 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허창수 회장은 이날 환영사를 통해 “에티오피아는 높은 성장률과 더불어 아프리카 제2의 인구대국으로 풍부한 성장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어, 우리기업들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날 발표에 나선 메스핀 미덱샤 주한 에티오피아 대사관 상무공사는 “에티오피아 정부는 발전사업, 철도, 신규공항, 설탕·비료 공장 등을 신규 건설하고자 계획하고 있어 한국 기업의 진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정치적으로 안정돼 있으며 인건비, 관세 측면에서도 상당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중국 및 아시아 국가를 대신하는 세계의 공장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밝혔다.
이 날 행사를 준비한 엄치성 전경련 상무는 “중국 등 경쟁국에 비해 한국의 에티오피아 진출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면서 “중국의 경우 막대한 자본력을 무기로 에티오피아 전체 도로의 약 70% 이상을 건설하는 등 에티오피아의 건설시장을 장악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경우에도 2014년도에 아베 총리가 아프리카 국가를 순방하며 에티오피아에 140억 달러 이상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엄치성 상무는 “한국기업이 다른 국가에 비해 늦은 감은 있지만, 양국 간의 혈맹 관계와 한국의 경제발전 성공 경험 등을 잘 활용한다면 에티오피아 시장 진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한국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ICT 등 하이테크 분야도 우리 기업의 진출이 유망한 것”으로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