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소비세 인하 종료로 판매 급감 예상속<br>쌍용차 파업·GM대우 조업감소등 악재 산적<br>업계, 할인혜택 확대등 판매조건 마련 부심
자동차 시장에 7월 한파주의보가 내려졌다.
개별소비세 인하 조치가 6월로 종료되면서 7월 판매 급감이 예상되는 데다 쌍용자동차 노사 문제와 미국 GM의 파산 보호 신청에 따른 GM대우의 조업 감소 등 자동차 시장에 악재들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29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에다 일부 업체 가동중단 등이 자동차 판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우선 글로벌 경기침체로 지난해 12월 중순 도입된 30%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은 이 달 말이면 수명을 다한다. 이에 따라 7월부터는 소비자들이 세제 혜택을 볼 수 없게 되면서 판매는 자연스럽게 6월보다 크게 줄 것 예상되고 있다.
서성문 한국증권 연구위원은 "6월 내수 판매량이 14만대 가량 예상되는데 반해 오는 7월에는 8만대 전후로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연말까지 계속되는 노후차 교체 인센티브 혜택이 하반기 유일하게 남은 호재"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최근 3개월간 정부 정책에 힘입어 살아난 내수 활성화 분위기를 이어가기 위해 7월 판매 조건을 수립하는데 고심하고 있다. 업계는 일단 7월 할인 혜택을 적어도 6월 보다는 더 제공할 전망이다. 차 값이 이전 가격으로 복원되면서 판매가 줄 것이 불 보듯 뻔한 상황에서 할인 혜택을 늘릴 수 밖에 없는 게 업계의 입장이다.
자동차 업계는 또 개별소비세 종료에 따른 6월 주문 폭주로 물량이 부족해 차량 출고가 7월로 미뤄지면서 해당 소비자들을 위해 혜택을 추가하는 방안도 고심하고 있다. GM대우는 6월에 계약했지만 차량이 없어 7월에 차를 인도 받는 소비자들을 위해 차종별로 세제 혜택의 70~80%에 준하는 할인 폭을 적용할 방침이다.
조업중단도 잇따르고 있다. 한달 넘게 노조의 공장 불법 점거로 파산 위기에 몰린 쌍용차 노사 문제도 7월 최대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쌍용차 문제로 민주노총과 금속노조가 파업을 예고하고 있어 여름 자동차 시장엔 우울한 그림자가 드리워질 전망이다.
쌍용차 부분파업이 시작된 지난 4월24일부터 이 달 말까지 생산차질 대수는 9,193대, 피해 액수는 1,990억원에 달한다. 업계 전문가는 "사측이 법원에 회생 계획서를 제출하기도 전에 법원의 자체 판단으로 파산 결정을 내릴 수도 있다"면서 "이렇게 가다간 결국 공멸하는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업계 평균 가동률이 최근 3개월간 손익 분기점을 돌파한 지 한 달도 채 안 돼 가운데 GM대우는 주력 생산공장에 대해 가동중단에 들어갔다. GM대우는 부평공장에 대해 7월25일부터 8월1일까지 임시 휴무 조치에 이어 3일부터 9일까지 일주일간 여름휴가에 돌입한다.
덧붙여 라세티 프리미어를 만드는 군산공장에 대해서도 가동 중단을 검토 중이다. 이는 모기업인 미국 GM의 파산보호 신청도 있지만 개별소비세 인하 조치 종료로 내수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 선제적 조치 성격이 강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